겨울이 되면 왜 건조해지는 것인가요.?
다른 국가들의 경우에는 겨울이 되더라도 건조해지는 현상을 보기 힘든 것 같은데 왜 우리나라의 경우에만 겨울이 되면 건조해지는 것인가요?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북반구의 대부분의 지역에서 겨울이 되면 건조해집니다. 이는 북반구의 겨울철에 태양의 고도가 낮아져서,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태양 에너지의 양이 줄어들면, 지표면의 온도가 낮아지고, 공기의 수증기 함량도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겨울철에는 공기의 습도가 낮아져서 건조해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철과 같이 기온이 높을 때 주변 대기에 함유되는 수증기 양이 많아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겨울철보다 습도가 높습니다. 그에 따라 겨울철은 상대적으로 건조하다고 느끼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중에 녹아있을 수 있는 양이 여름에는 많고 겨울에는 적어 집니다. 따라서 겨울에는 건조해진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의 습도는 공기가 가지고 있는 물의 양의 비례합니다 온도가 내려가게 되면 공기 중에 포화 수증기량이 낮아지게 된 것이죠 함유하고 있는 수분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건조해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인형 과학전문가 입니다.
기온이 높으면 포화수증기량이 많고 기온이 낮으면 포화수증기량이 적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건조해집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의 온도가 내려가게 되면 포화 수증기량자체가 낮아져서, 평소 공기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절대량 자체가 줄어들게 됩니다.
그만큼 건조하게 느껴지게 됩니다.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에 용해될 수 있는 수증기의 양의 최대치인 “포화 수증기량”은, 공기의 온도에 따라 정해져 있어, 온도가 높을 만큼 많고, 온도가 낮을 만큼 적어집니다. 겨울철은 기온이 낮은 만큼, 포화 수증기량이 매우 적어(공기 안의 수분이 적어진다) 되므로, 건조해 집니다.
환경이 건조해지면 피부가 가려울 수 있고 정전기도 자주 발생해서 불편하게 됩니다. 겨울철에는 가습기 등으로 주변 환경에 수분을 공급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