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풀리비비123
풀리비비12323.04.23

왜 생 시금치에는 독성이 있나요?

저는 시금치를 좋아해서요.

반찬으로든 김밥을 해서 먹든 시금치를 꼭 해서 먹는데요.

항상 시금치를 데쳐먹긴 했는데, 생으로 먹으면 위험한 나물이라 하더라구요.

시금치를 생으로 먹으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생 시금치에는 옥살산이라는 화합물과 아스코르비산 옥시데이스라는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어 독성이 있습니다. 옥살산은 과다하게 섭취하면 신장과 방광에서 결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아스코르비산 옥시데이스는 비타민 C를 파괴하여 결핍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삶거나 데친 시금치는 이러한 독성을 크게 줄이므로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그 이유는 '요로결석'에 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시금치를 먹으면 체내에서 옥살산이 생기는데요.

    이것이 칼슘 이온과 반응해 요로결석을 일으킵니다.

    금치 외에도 죽순이나 파슬리에도 많이 있으니 주의해야 하는데요.

    그나마 다행인 것을 이 옥살산은 수용성이라 물에 녹기에 데치면 대부분 빠져나옵니다.

    그러기에 시금치는 생으로 먹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고요.

    데친 것도 적당히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시금치가 갖고 있다는 단 하나의 결점이 있다면 그것은 수산이 많은 채소라는 것입니다 수산은 다른 말로 옥살산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칼슘, 철분, 마그네슘, 아연과 같은 미네랄의 흡수를 방해합니다.수산이 칼슘과 결합하면 수산칼슘을 만드는데 이렇게 수산과 붙어버린 칼슘은 영양소로서의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오히려 돌처럼 단단하게 결정을 이루어 결석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신장결석, 요로결석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것입니다.그래서 시금치를 먹을 때는 두부나 우유 같이 칼슘이 많은 음식을 피하라는 말이 나온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생 시금치에는 염소산염이라는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염소산염은 자연계에서도 발견되는 화학물질로, 식물이 먹이로부터 직접 섭취하거나 토양에서 흡수하여 체내에 축적됩니다. 염소산염은 작은 양에서는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주지 않지만, 대량으로 섭취하면 위장 장애와 구토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 시금치를 먹기 전에는 꼭 씻어서 염소산염을 줄이고, 끓여서 조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끓이면 염소산염이 거의 없어지기 때문에 끓인 시금치를 먹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시금치는 자체 독성성분이 겉에 뭍어 농약이 필요없는 식물입니다.


    그래서 벌래밑 천적을 방지하죠^^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생 시금치에는 칼륨과 철분을 결합하여 칼슘을 부족하게 만들어 요로결석이 생기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독성이 강한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시금치에는 수산이라는 성분 때문입니다.

    수산은 칼슘과 결합할 경우 체내에 흡수되지 못하고 돌멩이를 만드는데요, 이는 신장결석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수산을 제거하기 위해 데치는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시금치 속 베타카로틴을 체내에서 소화하기 쉽게 만들기 위해서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시금치를 생으로 먹지 않는 이유는 시금치엔 담석을 유발하는 수산기가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담석이 생기려면 섭취하는 시금치의 양이 일반 섭취량을 훨씬 초과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 먹는다고 바로 문제가 되고 그런 정도는 아닙니다. 과다한 양을 섭취하는 경우가 아니면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