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귄의 발 가죽은 얼마나 두껍길래 남극의 추위를 견디나요 ??
안녕하세요 :)
펭귄은 그 춥디 추운 남극의 추위를 견뎌내고 살아가는데여,,, 발 가죽에는 털이 안덮혀 있던데 그런
그 발 가죽은 얼마나 두껍길래 남극의 추위를 견딜 수가 있나요 ??
펭귄의 발 가죽은 생각보다 얇습니다.
펭귄의 발 가죽이 남극의 혹한을 견딜 수 있는 비결은 가죽의 두께보다는 다른 이유 때문입니다.
펭귄은 발에 도달하는 혈액량을 조절하는 특별한 혈관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추운 환경에서는 발로 가는 혈액량을 줄여 열 손실을 최소화하고, 따뜻한 혈액을 몸의 중심부로 보내 체온을 유지합니다.
좀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펭귄의 다리에는 동맥과 정맥이 서로 맞닿아 있는 특수한 혈관 배열이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따뜻한 동맥혈이 차가운 정맥혈에 열을 전달하여 열 손실을 줄이고, 발의 온도를 낮춰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합니다. 그리고 펭귄의 발바닥은 단단하고 미끄럽지 않은 특수한 구조로 되어 있어 빙판 위에서도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서 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바닥에는 혈관이 적게 분포하여 열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또한 펭귄의 몸은 얇은 가죽을 대신하여 두꺼운 지방층으로 덮여 있어 마치 방한복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이 지방층은 단열 효과가 뛰어나 체온 유지에 큰 도움을 주며, 에너지 저장 역할도 하죠.
결론적으로, 펭귄의 발 가죽이 두꺼워서 남극의 추위를 견디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생리적 특징을 통해 혹한의 남극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고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남극은 겨울 평균 기온이 영하 20도를 넘으며, 눈발과 얼음 조각이 섞인 바람이 초속 20m의 속도로 부는데요, 이러한 극한 환경에서도 펭귄은 다양한 전략을 통해 추위를 견딥니다. 펭귄은 온몸에 깃털을 가지고 있는데요, 펭귄의 깃털은 다른 새들의 깃털과 달리 좌우의 크기가 같고, 깃털 안에 솜털이 2중막으로 빽빽하게 들어차 있습니다. 이는 잠수복과 같은 원리로 빈공간을 없애 물이 펭귄의 피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막아주며, 깃털에는 작은 공기구멍들도 있고, 특수한 기름도 흐르기 때문에 물과 섞이지 않는 소수성이어서 물과 닿아도 밀어냅니다. 하지만 펭귄의 신체 부위에서 유일하게 깃털로 덮여 있지 않은 부위가 바로 발인데요, 발은 직접 빙하에 닿는 부위여서 동상이 걸리기 쉽지만 펭귄에게 동상은 어울리지 않습니다. 이는 펭귄의 발은 '원더네트(wonder net)'라는 특수한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일반 조류의 발은 동맥과 정맥의 길이 구분돼 있지만 펭귄의 원더네트 구조는 동맥과 정맥이 서로 꼬아진 형태의 모세혈관 다발로 이뤄져 있습니다. 빙하와 닿아 차가워진 펭귄의 피(정맥)가 몸속을 순환하는 따뜻한 피(동맥)와 서로 붙어있어 열을 서로 교환함으로써 열 손실을 줄이게 됩니다. 따라서 차가운 발의 피는 얼지 않게 적당히 따뜻해지고, 몸속의 따뜻한 피는 적당히 식혀져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적절한 체온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펭귄의 발은 털로 덮여 있지 않지만, 그들은 특수한 생리적 구조와 적응을 통해 남극의 극한 추위를 견딥니다. 펭귄의 발 가죽은 두껍고, 혈관이 밀집해 있어 체온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펭귄의 발 가죽은 두껍고 지방층이 잘 발달되어 있어 남극의 추위를 견딜 수 있습니다. 또한 혈액 순환 조절을 통해 발의 온도를 낮추어 열 손실을 최소화하는데, 이 덕분에 극한의 추위 속에서도 동상에 걸리지 않고 생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