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나 재해로 인해서 전기가 나가게 되면 한전에서는 전기가 어디에서 끊겼는지 어떻게 알고 수리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전기는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인 요소중에 하나인데, 한번씩 화재가 났거나, 재해로 인해서 전기가 일정지역이
끓겨서 그것을 확인하는 한전에서는 전기가 어디에서 끓겨서 보수공사를 하고 원래대로 작동이 할 수가 있도록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대부분 화재나 재해로 인해서 전기가 끊기게 되면 한전에서는 실시간 감지 제어 시스템인 SCADA라는 시스템에서 전압과 전류, 차단기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데 거기에 있는 센서가 특정 구간에 문제가 될경우에 알람을 주게 되어 있습니다. 그럼 그 알람에 맞쳐서 한전 직원이 가서 정확히 어디가 문제되는지 확인해서 수리를 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한전은 전기가 끊어진 원인을 파악하고 수리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과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전력망 관리 시스템을 통해 전기가 어디서 끊겼는지를 파악 할 수 있습니다.스마트 그리드 시스템과 SCADA 스카다 시스템을 사용하여 전력망의 실시간 상태를 모니터링합니다. 만약 특정 지역에서 전력이 끊어지면, 해당 지역의 전력 공급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이를 한전의 모니터링 센터로 전달합니다.
전기차단기와 스마트 미터 같은 장치들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력망에 문제가 생기면 어떤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장에 있는 전력 설비 점검 시스템도 사용이 되는데요, 만약 전력망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한전의 기술자들이 현장을 점검하여 화재나 재해로 인해 손상된 설비를 수리하고 필요한 복구 작업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한전은 화재나 재해로 전기가 끊기면 원격 감지관제소 같은 곳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력을 감지하고 통제하는 중이빈다. 그래서 어디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파악하고 있답니다.
전력망에 설치된 센서와 계측기들이 이상 신호를 감지하면 바로 위치를 알려주게 되며, 그 후에 신속히 현장에 출동해서 손상된 부분을 점검하고 수리 작업을 진행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한전은 실시간 모니터링은 통해 송변전 설비와 배전망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정전고장시스템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고장위치와 발생시간, 정전 지역, 원인을 자동을 파악할 수 있으며
배전선로에 자동화된 센서와 개폐기를 통해 전류 흐름이 막힌 구간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전 업체를 통해 현장에서 직접적인 원인과 복구 작업을 실시합니다.
현장에서 전선의 단선, 변압기, 개폐기,차단기 등 문제 원인등을 파악하여 수리나 교체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한전의 계통도는 전력과 함께 광케이블로 상태신호도 전달하게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변전소에 계통별 상황신호가 들어와 문제가 발생되면 알람이 뜨게도고 오퍼레이터는 어디가 문제인지 바로인지가 가능한거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한전은 전력 공급망에 이상이 생기면 SCADA나 스마트 계량기 등의 원격 감시 시스템을 통해 전기가 끊긴 구간을 실시간으로 파악합니다. 그런 다음 고장 지점의 차단기 상태나 전압 전류 등의 데이터를 분석해 고장 위치를 추적하고 현장 기술자가 출동해 변압기 배전선 개폐기 등을 점검 및 보수해 복구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 과정은 최대한 빠르게 진행되어 정전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한전에서는 사고로 인해 전기 공급 중단 상황을 확인하고 복구 작업에 돌입하게 되는데요.
우선적으로 전력 차단된 곳의 전기 설비, 전성, 변압기 등을 확인하고 합선, 과부하 등 신속하게 복구 필요한 부분의 원인과 적절한 대응으로 처리를 합니다.
전기는 우리 삶의 필수적인 부분이다보니 한전에서도 차단시 즉각적으로 출동해 복구작업을 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전기 배선에 문제가 생겨 전기 전달이 잘 되지 않으면 그 문제 부위를 찾으려고 합니다. 이는 현장 조사 및 고장 구간을 파악하는 것에서 시작할 수 있습니다. 다만 최근에는 이렇게 현장 조사를 하지 않더라도 사전에 어디 정도에서 고장이 발생했는지, 대략적인 위치 등을 알 수 있어, 전수 조사를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고장위치를 찾았다면 이에대한 복구작업을 시작하여 고치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