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끝없이편안한하마
끝없이편안한하마

왜 쥐는 부정적 이미지인 "배신자"의 대명사가 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역사관련된 컨텐츠를 좋아하는 사람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소설,영화에서 사고가 일어나고 그것을 말해야 해선 안될 사람에게 말하면 이 쥐새끼같은 놈!

이러지않습니까?

최근에는 그 미국의 보험관련된 사건에서도 그 암살한 사람을 신고하니까 신고한 사람이 근무하는 곳에 평점으로 여긴 쥐가 사니 절대 안갈 것이다 라고 은유적으로 쥐를 배신자의 대명사처럼 쓰더라고요

왜 쥐는 배신자 이미지가 생긴걸까요?

처음에는 흑사병때문인가 라고생각했습니다

그것때문에 싫어할 수 있겠거니 했는데 "배신자"이미지니까 다른 사건인가 생각도 들고요

역사속에서 어떤 인물이 쥐를 이용해 첩보활동이라도 했나싶을정도입니다

왜 서양쪽에서는 쥐가 "배신자"이미지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권 전문가입니다.

    동/서양권에서 쥐는 부정적인 의미로 많이 쓰입니다. 문의주신 것 처럼 특별한 사건이 있었던 건 아니고, 농경사회에서 최악의 동물이 쥐였기 때문입니다.

    흑사병과 같은 질병을 옮기는것은 당연하고, 농경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저장한 곡식을 훔쳐가는 동물이기 때문에 최악의 동물 중 하나였습니다. 특히 숨어서 지켜보고 있다가 인간이 사라지면 곡식을 훔쳐가고 오염시키기 때문에, 쥐새끼가 숨어있다 = 이곳을 망친다는 의미로 쓰였습니다.

    이러한 의미가 계속 퍼지다 보니, 배신자의 이미지까지 확장되었습니다. 숨어서 무언가를 망침 -> 상대방을 속이다가 배신하여 망침 이런식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고 보면 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