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는 피를 빨 때 아프지 않게 하는 성분을 어떻게 분비하나요?
모기가 피를 빨고 있으면 사람이나 동물이나 감각을 인지를 못하게 되는데요 그렇다면 아프지 않게 하거나 감각을 무디게 하는 성분이 무엇이며 어떻게 분비하나요
안녕하세요.
네, 말씀하신 것과 같이 모기가 사람이나 동물의 피를 빨 때 우리가 잘 느끼지 못하는 이유는, 모기가 흡혈 과정에서 매우 정교하게 특수한 침 분비물을 주입하기 때문인데요, 이 침 속에는 통증을 줄이거나 감각을 무디게 하며, 혈액 응고를 막는 다양한 생화학적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우선 모기는 피를 빨 때 자신의 침(타액)을 먼저 주입하는데요, 이 침 속에 여러 가지 효소와 단백질들이 들어 있으며, 이것이 바로 우리가 모기가 피를 빠는 동안 통증을 거의 느끼지 못하는 이유입니다. 모기의 타액에는 트롬빈 등 응고인자 작용 억제하여 피가 굳지 않게 유지하는 항응고 단백질, 신경 말단의 감각을 일시적으로 무디게 하는 경미한 진통 성분 등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즉, 모기의 침은 마치 작은 생물학적 “마취제 + 혈액 희석제”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성분들 즉 흡혈 직후에는 진통 및 항염증 성분 때문에 감각이 무뎌져 아프지 않지만, 침 속의 단백질들이 체내에 남아 면역계가 이를 이물질로 인식하면, 히스타민이라는 염증 반응 물질이 분비되어 부풀고 가려움증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말씀하신대로 모기는 피를 빨 때 사람이 아픔을 느끼지 못하도록 침샘에서 여러 가지 성분들을 분비합니다.
먼저 마취성분입니다.
모기의 침에는 국소 마취와 유사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모기가 피부에 침을 삽입할 때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합니다. 이 때문에 사람은 모기가 피를 빠는 동안에는 거의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번째는 항응고 성분입니다.
모기는 피를 빨기 위해 주둥이를 혈관에 꽂는데, 이때 혈액이 응고되면 피를 빨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모기는 침을 통해 혈액 응고를 방지하는 항응고 성분인 히루딘을 분비하여 피가 굳지 않게 합니다.
또한 모기는 피를 더 쉽게 빨아들이기 위해 주변 혈관을 확장시키는 성분도 분비됩니다.
이는 혈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모기가 더 많은 피를 효율적으로 빨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죠.
그리고 모기에 물린 후 나타나는 가려움증이나 부어오름은 모기의 침에 포함된 단백질 성분에 대한 우리 몸의 면역 반응인 알레르기 반응 때문입니다. 즉, 물리는 순간에는 마취 성분 덕분에 아프지 않지만, 나중에 면역 반응으로 인해 가렵고 붓게 되는 것입니다.
모기가 피를 빨 때 통증을 느끼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모기 침 속에 있는 여러 성분 때문입니다. 모기는 흡혈 과정에서 침을 통해 마취 성분과 함께 피가 응고되지 않도록 하는 항응고 성분을 분비합니다. 이 성분들은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액 응고를 방해하여 모기가 원활하게 피를 빨 수 있도록 돕습니다. 사람은 이 침 속의 단백질 성분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히스타민을 분비하게 되는데, 이 히스타민이 가려움증을 유발하여 흡혈 후 시간이 지난 뒤에야 불편함을 느끼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모기는 피를 빨 때 침샘에서 진통과 항응고 효과가 있는 타액을 주사해 통증을 느끼는 신경을 둔감하게 하고 피가 잘 흐르게 하며, 이 타액은 주둥이를 통해 피부에 주입되어 사람이 물린 것을 바로 알아차리지 못하게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모기는 피르빨때 타액을 통해 항응고제와 진통, 마취작용을하는 물질을 피부에 주입합니다.
더 자세히는 항응고단백질, 히스타민 억제물질, 국소마취성 펩타이드 등이 포함되어있어서
통증이나 가려움 인지를 지연시키고, 피를빠는동안 숙주가 알아차리기 어렵게 만듭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우선 아프지 않게 보다는
피가 굳는것을 방지하는 성분을 분비를 해요
혈액 응고를 억제를 해 통증도 같이 줄어드는원리인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