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보고싶은아카시아나무
보고싶은아카시아나무

노화세포를 이용해 암세포를 억제할 수 있나요?

노화세포의 분열 기전을 암세포에 적용해서 암세포의 무한 증식을 막을수 있을까요?

적용하기 위해선 어떤 문제가 해결되어야 하며, 실험 시 어떤 제약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노화세포는 더이상 분열하지 못하게 멈춘세포이기때문에

    이 원리를암세포에 적용하게되면 암세포도 무한히 자라는걸 막을 수 있긴합니다.

    하지만 노화세포가 내뿜는 물질이 오히려 주변 세포를 자극해서 암을 키울수도있고,

    정상세포까지 영향을 줄 수 있기때문에 부작용 정확한 인자조절문제를 해결해야한다고합니다.

  • 노화세포의 무분열 특성을 이용하여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려는 연구는 진행되고 있으나, 이를 실제로 적용하는 데에는 여러 문제가 있습니다. 노화세포는 증식 능력을 상실한 세포로, 암세포가 가진 무한 증식 특성을 억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노화세포가 분비하는 다양한 물질들은 주변 세포에 염증 반응이나 암의 성장을 촉진할 수도 있어, 이러한 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노화세포를 원하는 부위에 정확히 전달하고, 목표한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억제하도록 유도하는 기술적인 난제가 해결되어야 하며, 임상 적용 시 인체에 미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합니다.

  • 이전에는 노화세포에 암세포의 무한증식을 적용하는 것을 여쭤 보셨었는데, 그 반대의 경우는 충분히 가능성이 있습니다.

    물론 실제 적용까지는 문제점들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세포 노화란 간단히 말해 다양한 이유로 세포 분열이 완전히 멈춘 현상으로, 손상된 세포가 암세포로 변이하는 것을 막는 방어 메커니즘 중 하나이며 이 과정은 텔로미어(telomere) 단축과 DNA 손상 반응이라는 두 가지 주요 기전에 의해 촉발됩니다.

    그리고 실제 노화세포의 분열 기전을 암세포에 적용하는 연구도 있습니다.

    즉, 암세포의 텔로머라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텔로미어를 단축시키고, 이를 통해 암세포를 노화 상태로 유도하거나 세포의 DNA를 의도적으로 손상시켜 노화 반응을 촉발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앞서 말씀드린대로 문제점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하고 정상 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하며, 노화된 암세포는 면역 반응을 회피하거나 주변 환경에 염증성 물질을 분비하여 다른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노화 상태에 진입한 암세포를 제거하는 후속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실험과정에서도 여러 문제점은 있습니다.

    특히 텔로미어 단축을 통한 노화 유도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단기적인 실험 모델로는 효과를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다른 실험처럼 실험실이나 동물 실험에서는 성공적이라 할 지라도 그 내용을 그대로 인간에게 적용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말씀하신 이 부분은 상당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부분입니다.

    실제 2024년 '이메텔스타트'라는 텔로머라아제 억제제가 골수형성이상증후군 치료제로 FDA 승인을 받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