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변비가 점점 심해지고 있어서 변비약을 먹고 있어요. 변비약으로도 해결이 안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48
기저질환
비만/당뇨/자궁근종

다이어트에 근종이 압박해서 더 심해지는 거 같습니다. 식이섬유 위주로 식사를 하는데도 병적인 기질이 있어서

대장을 눌러서 그런지 갈수록 변보는 게 힘이 듭니다. 변비 때문이라도 자궁근종 수술을 해야 하는데 고민이 많습니다. 일단 변비가 큰 문제인데 변비약도 계속 먹으면 내성이 생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변비가 심해지고 있다는 상황이시군요. 특히 변비약을 드시고도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고 하셨습니다. 이런 경우, 변비약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이어트와 자궁근종이 추가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언급하셨는데요, 이런 경우 종종 복부와 골반 내 장기가 압박을 받아 장운동이 방해될 수 있습니다. 이런 압박이 장기적으로 지속된다면 의도한 만큼 변비가 해소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식이섬유를 위주로 식사를 하고 계신 점은 아주 좋습니다. 그러나 식이섬유 이외에도 물의 충분한 섭취와 규칙적인 운동이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은 변을 부드럽게 해서 통과하기 쉽게 만들고, 운동은 장의 연동운동을 돕습니다.

    변비약의 경우, 오랫동안 사용시 내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변비약에만 의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변비가 지속적으로 악화된다면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으니 병원에서 추가 검사를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자궁근종으로 인해 장이 압박받고 있다면, 근종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의사와 상담하여 수술을 고려할지 판단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자궁근종으로 인한 변비 증상이 지속되고 있어 힘드신 상황이 느껴집니다. 자궁근종이 대장을 압박하면 변비가 악화될 수 있으며, 식이섬유 섭취나 일반적인 변비약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변비약의 경우 종류에 따라 내성 발생 가능성이 다른데, 자극성 완하제(비사코딜 등)는 장기 사용 시 내성이 생길 수 있으나 부피형성 완하제나 삼투성 완하제는 상대적으로 내성 발생 우려가 적습니다. 현재 상황에서는 산부인과와 소화기내과 전문의의 협진을 통해 자궁근종의 크기, 위치, 대장 압박 정도를 평가하고 수술 필요성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많은 분들이 변비로 인하여 고생을 하고 있는데, 변비에 대해서는 현실적으로 특별한 방법이 없습니다.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고, 장 운동이 왕성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충분한 육체적인 활동을 해주는 것이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너무 심하다면 변비약의 도움을 받는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질문자님의 경우와 같이 자궁근종이 대장을 눌러서 발생하는 변비라면 그러한 방법으로도 해결이 어려울 가능성이 있으며, 수술적인 치료를 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얼마나 효과적일지는 실질적으로 치료를 해보기 전에 정확히 알 수는 없는 것이 아쉬운 부분입니다. 어떠한 약물이든 내성이 생길 수 있긴 합니다만, 보통 변비약을 적당히 계속 먹는다고 하여서 막 내성이 생기고 문제가 되고 하지는 않긴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현재 변비가 점점 심해지고 있고 변비약으로도 효과가 제한적이라면, 단순한 식습관이나 장 기능 문제를 넘어서 기질적인 원인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자궁근종이 크고 위치상 대장을 압박하고 있다면, 배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요

    특히 비만과 당뇨 같은 기저질환이 있다면 장 운동도 둔해질 수 있어 복합적으로 변비가 악화될 수 있죠. 식이섬유 위주로 식사하고 있음에도 효과가 없다면, 수분 섭취가 충분한지, 장 운동을 촉진할 수 있는 규칙적인 운동이 병행되고 있는지도 점검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변비약은 일시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계속 복용하면 내성이나 의존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자극성 하제는 장의 자연스러운 운동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어 장기 복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반복적인 변비와 배변 곤란이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고 있고, 자궁근종이 원인 중 하나라면 수술적 치료도 진지하게 고려해볼 필요가 있어요

    수술 여부는 산부인과와 소화기내과의 협진을 통해 결정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변비가 삶의 질을 심각하게 떨어뜨리고 있다면, 원인을 제거하는 방향이 장기적으로는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