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뇌의 주름이 많으면 어떠한 특징을 갖는건가요?

흔히 뇌의 주름이 많으면 머리가 똑똑하다 라는 속설이 있는데요.

그렇다면 과학적으로 뇌의 주름진 이유는 무엇이고 주름이 많으면 어떠한 특징을 갖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검붉은코뿔소 34
    검붉은코뿔소 34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뇌를 많이 사용할수록 주름이 더 많이 생깁니다.

    또한 한정된 머리 공간 속에 최대 효율을 내기 위하여 주름 형상이 적용되어 최적 용량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표면 면적 증가: 주름이 많은 뇌는 표면적으로 더 많은 면적을 가지므로, 더 많은 뉴런과 신경 연결이 가능합니다.

    2. 신경 연결 증가: 주름이 많은 뇌는 신경 연결의 수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정보 처리 및 인지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인지 능력 향상: 주름이 많은 뇌는 표면적인 면적이 증가하고, 더 많은 신경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보 처리 및 인지 능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뇌가 주름진 이유는 주름짐에 따라 대뇌피질의 표면적을 넓힐 수 있으며 보다 많은 신경 세포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뇌의 주름이 많으면 정보 처리 속도가 빨라집니다.

    주름이 있으면 신경세포끼리 거리가 가까워져서 전기신호를 훨씬 빨리 보낼 수 있어 뇌에서 정보를 처리하는 속도도 빨라지게 됩니다.

    또한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혈류량을 늘릴 수 있습니다. 사람의 뇌는 1.2~1.4kg으로 전체 몸무게의 2%정도지만, 뇌로 가는 혈류량은 온몸을 순환하는 양의 20%로 높은 편이며, 몸 전체의 사용하는 산소의 20%를 소모합니다. 뇌는 에너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내는 포도당만 사용하는데, 뇌 주름에 혈관이 매우 가까이 있어 효율적으로 포도당을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뇌의 표면적이 넓어집니다. 이는 뇌가 더 많은 뉴런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뇌가 더 많은 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지능이 높을 동물일수록 두뇌가 크고 주름이 많습니다.

    동물의 경우를 보면 쥐의 뇌는 다른 동물에 비해 작고 주름이 거의 없지만 침팬지와 돌고래, 사람의 뇌는 크고 주름이 많아 비교적 잘 발달한 것으로 추측되죠.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뇌의 주름을 펼치면 신문지 한 면의 크기가 된다고 합니다.

    인간이 진화하면서 늘어나는 많은 신경세포들을 집어넣기 위해 주름이 생겼죠.

    인류는 뇌의 부피를 키우지 않고 뇌의 주름을 잡아 표면적을 넓혔습니다.

    만약 주름이 없다면 뇌는 지금보다 크겠죠.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뇌의 주름은 뇌의 표면적을 넓혀주는 역할을 합니다. 뇌의 표면적은 뇌의 크기와 비례하여 뇌의 기능과 관련이 있습니다. 뇌의 표면적을 넓히면 더 많은 신경세포가 모여서 더 많은 정보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뇌의 주름은 뇌가 성장하면서 형성됩니다. 태아의 뇌는 평평하지만, 성장하면서 뇌가 부풀어 오르면서 주름이 생깁니다. 뇌의 주름은 사람마다 다르며, 주름의 모양과 깊이는 뇌의 기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