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달리기하는하마
달리기하는하마

외화예금 증가 흐름, 무역업계 자금 운용에도 의미가 있을까요

지난 8월 우리나라 외화예금이 25억 달러 증가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환율 변동성과 맞물려 무역업체들의 자금 조달이나 환리스크 관리에 어떤 신호로 해석될 수 있을까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외화예금이 늘었다는 건 기업들이 달러를 그냥 들고 있겠다는 선택을 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무역업계에서는 환율이 언제 다시 요동칠지 모르니 현금성 자산으로 버티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수입업체 입장에서는 결제용 달러를 미리 쌓아두는 전략일 수 있고 수출업체라면 환전 시점을 늦춰 환차익을 노리는 흐름일 수도 있습니다. 자금 운용 측면에서는 단기적으로 환리스크를 피하는 방어적 포지션을 강화하는 의미가 크고 시장 전체로 보면 달러 수요가 유지되면서 환율 변동성을 더 키울 수 있다는 점도 엮여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사실상 환율에 대한 리스크가 더 커졌다고 보는 시각이 많은듯 합니다. 이러한 외화잔고의 증가는 원화가치 하락에 대한 베팅이 커진다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환리스크 적인 측면에서 환율의 상승에 대한 대비는 되어있다고도 볼 수 있으나 하락에 대하여도 다른 방법으로 대비책이 필요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예금증가는 최근 증권사예탁금 증가 등의 영향이 있었다고 합니다.

    https://www.kita.net/board/totalTradeNews/totalTradeNewsDetail.do;JSESSIONID_KITA=63427E6A1EB5CCD295C612C59D8CA77E.Hyper?no=95452&siteId=1

    외화 예금이 증가하면 무역업계는 안정적인 외화자금 확보와 환리스크 분산에 유리한 환경을 마련할 수 있지만, 예금증가가 무조건 무역업체에 자금이 융통되는 등의 상황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각 무역업체들의 상황을 잘 확인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