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밝은영양74
밝은영양74

편두통이 열흘넘게 지속되는데 괜찮은 걸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44
기저질환
없음
복용중인 약
두통약

5/13 : 스노클링 중, 5m 다이빙 후 올라오는데 뇌가 빠직하면서 띵한 이후로 두통 시작

5-14-16 : 몸살기, 기력저하 동반 두통약 먹기 시작

5/16-19: 열이 38-39도까지 올라 항생제 먹기 시작

5/19-현재 : 열은 내렸으나 편두통이 하루종일 지속됨 불규칙하거나 규칙적으로 계속해서 망치로 때리고 지나감

<진료>

오늘 병원가서 코로나(음성), 피검사, CT촬영 마쳤는데 크게 별다른 이상 없다고 함. 비타민 B가 부족하다고 하여 링겡 맞고 나서 호전되는 듯 싶더니 저녁되니까 다시 아픈데.. 괜찮은건지 모르겠네요. 너무 오래 지속되니까.. 속도 안좋고, 잠은 쏟아지고, 무기력합니다. 혹시 다른 뇌질환이 의심되는 부분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명확한 원인 없이 한쪽 머리가 쑤시듯 아프면 편두통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갑작스러운 신체내부 또는 외부환경의 변화에 뇌신경과 혈관계통이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여서 통증이 발생한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특징적으로 시야가 어두워지거나 반짝임, 오심, 소화불량 등의 다른 증상과 함께 동반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들이 강한 소음, 강렬한 냄새, 번쩍이는 불빛, 식사를 건너뛰는 경우, 스트레스, 치즈, 초콜릿, 알코올 등이 있습니다.

      이런 유발 인자를 파악하셔서 피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두통의 종류에는 긴장성 두통, 편두통, 군집성 두통이 있습니다. 긴장성 두통은 머리에 띠를 두르는 양상으로 통증이 주로 발생하며 두통의 약 75% 이상을 차지합니다. 편두통은 박동성으로 통증이 오는 경우가 많으며 통증 전에 전조증상인 구역, 구토, 빛과 소리에 대한 과민반응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군집성 두통은 드물지만 한 부위에 집중적으로 수일, 수주 동안 심한 강도로 통증을 동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해당 두통마다 치료는 조금씩 다르므로 일단 신경과에 내원하시어 두통에 대한 정확한 진료를 받으신 후 처방을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코로나19는 자가진단검사나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는 민감도가 낮으므로 필요시 주기적으로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이미 검사는 충분히 받으신 것 같고 약도 사용중인 것 같습니다. 두통이 다소 오래 지속되고 있어서 걱정되실 수는 있지만 증상이 하나씩 해결되고 있다면 좀 더 약을 드시고 기다려보셔도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무래도 뇌 보다는 발열과 두통이 발생한 것으로 보아 중이염이나 외이도염이

      발행하였을 가능성도 있으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뇌수막염으로 이의 경우 CT 만으로

      판단하기 어려워 뇌척수액 검사를 하기도 합니다. 단순 두통과 발열만 지속되는 경우는

      해열제와 함께 항생제를 드시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수 있으며 증상 호전이 없는 경우

      신경과 등의 입원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 다이빙을 하면서 발생한 압력에 의해서 몸이 부담을 받아서 나타나는 증상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병원에서 검사를 받았으며 크게 이상이 없다면 우선은 통증을 조절하며 경과를 지켜보시는 것으로 충분해 보입니다. 하지만 걱정되어 더 정밀하게 검사를 받아보시겠다면 머리 MRI 까지는 받아보실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발열과 관련하여 두통이 지속된다면 편두통일 가능성은 떨어집니다.

      뇌수막염 등의 질환에 대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신경외과 진료를 보신걸까요? 뇌 CT를 찍었고 이상이 없었다면 뇌질환의 가능성은 떨어진다고 판단됩니다.

      두통의 경우는 신경외과보다는 신경과진료를 받아보시는게 더 자세한 진료가 가능합니다.

      신경외과는 뇌출혈에 관한 진료에 적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