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Streaking할 때 방식은 어떤 요인을 고려해서 결정하나요?
균을 배지가 깔린 plate에 streaking할 때 방식이 여러 종류로 나뉜다고 하는데, 어떤 요인을 고려해서 streaking 방식을 결정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streaking, 즉 획선 도말 방식을 결정할 때 가장 크게 고려해야 할 요인은 순수배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보통 선상도말은 계대배양이나 순수배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 큽니다.
spreading, 즉 평판도말도 해 보셨겠지만, 미생물은 집락의 특성을 바탕으로 육안으로 확인되기 때문에 각 미생물의 집락들이 겹치지 않도록 하는 단일 집락, 즉 싱글 콜로니 형태로 관잘되어야 가장 유리한데요, 획선 도말 방식은 그 형태를 가장 잘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만약 단일 균주를 분리하고자 한다면, 균세포를 플레이트의 한쪽에 streaking하여 균세포가 서로 분리되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단일 균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균의 농도가 너무 높을 경우 균세포들이 너무 밀집되어 분리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균을 플레이트의 한쪽에 streaking하여 균의 농도를 조절하고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균의 성장 특성에 따라 streaking 방식을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균주는 플레이트의 중심부에서 성장하면서 특정한 특징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streaking 방식을 조절하여 그 특징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