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CP내시경은 어떤때 시술하나요?
ERCP내시경은 어떤때 시술하고~비용은 어떻게 돼고~~건강보험 적용이 돼는지 궁금하고요~~위험한지 알고 싶네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비용에 대한 안내는 정책위반 사항이라 어려움을 양해 바랍니다.
내시경 역행 췌담관 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 Pancreatography)은 소화기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은 담낭에 저장되었다가 필요 시 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흘러가며 소화에 도움을 주고, 췌장에서 생성된 췌액은 췌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흘러갑니다. 담관과 췌관은 십이지장으로 들어가기 직전 하나로 합쳐지는데 이 부위를 십이지장 유두부라고 합니다. 내시경 역행 췌담관 조영술은 내시경과 방사선을 이용해 십이지장 유두부를 통해 담관 및 췌관에 조영제를 주입한 후, 담관과 췌관의 구조와 비정상적인 병변을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이 검사는 담관과 췌관의 구조와 병변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조직검사를 위한 검체 채취, 담관 결석 제거, 담즙 배액, 담관 폐쇄 치료 등을 할 수 있습니다. 검사는 담도와 췌장 기능 저하로 인한 소화기계 증상이나 황달이 발생했을 때, 담석증 치료, 담즙 배액, 담관 폐쇄 치료 등을 위해 시행됩니다.
검사 전날 자정 이후부터 금식해야 하며, 검사 당일에는 모든 옷과 악세서리를 제거하고 검사용 가운을 착용합니다. 내시경 삽입 시 구역질이나 구토를 방지하기 위해 목마취를 하고, 수면 내시경인 경우 수면제를 투약합니다. 내시경을 십이지장 유두부까지 삽입한 후 담관과 췌관에 조영제를 주입합니다. 검사 시간은 보통 30~40분 정도 소요되며, 시술을 병행할 경우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습니다. 검사 결과는 정확한 판독 후 의료진을 통해 설명을 들을 수 있으며, 조직검사를 시행한 경우 일주일 정도 후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검사는 일반 내시경이나 조영술과 달리 다소 어려운 검사로, 검사나 시술 후 여러 합병증이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대부분 입원하여 진행합니다. 검사 후 점막 손상, 출혈, 천공, 복통, 췌장염, 담관염, 패혈증, 심폐기능 저하, 쇼크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복통, 발열, 출혈,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반드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조영제 주입 시 일부 환자에서 화끈거림, 통증, 가려움, 호흡곤란, 저혈압, 쇼크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며, 이전에 조영제 부작용을 경험했거나 특이체질이나 과민반응이 있었던 경우 검사 전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검사 후 46시간 동안 금식해야 하며, 경우에 따라 24시간 금식을 필요로 할 수도 있습니다. 검사 후 목이 아프거나 침에 피가 섞여 나올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 나아지며 미지근한 물로 목을 헹구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주입된 공기로 인해 불편감을 느낄 수 있으나 트림으로 공기를 제거하면 증상이 나아집니다. 귀 밑 턱관절 주변이 붓고 아플 수 있으나 미지근한 타월로 찜질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위장 운동 억제제 부작용으로 앞이 흐리게 보일 수 있으나 2~4시간 후 증상이 사라집니다. 조직검사 후 흑색변이나 혈변, 심한 어지럼증, 빠른 맥박, 식은땀, 심한 복부 통증이 있으면 바로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담관결석일 경우 합니다. 비용은 병원에 확인을 하셔야 할 것이며 보험 적용은 됩니다
상당히 위험한 시술입니다. 수술없이 담관결석을 제거한다는 이점이 있지만
아주 안전하다고는 할 수 없는 시술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