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우렁찬참새734
우렁찬참새734

물가를 잡으려면 금리인상 말고 다른 방법도 있나요?

물가가 치솟고 있는 추세인데 코인, 주식에 관심이 많은 저에게는

이 악재가 저를 힘들게 합니다.

물가가 빨리 잡혔으면 좋겠는데 물가를 잡으려면 금리인상 말고 다른 대책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시크한오리233
      시크한오리233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차대조표 축소 즉, 양적긴축에 관한 전략이 존재할 것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양적긴축(QT: quantitative tightening)은 양적완화와 대비되는 말로 시장의 풀리는 돈의 유입을 줄인다는 개념입니다. 긴축은 대부분 금리인상을 통한 투자심리 위축부터 정부의 자산 매입을 줄이는 테이퍼링 그리고 매입한 자산을 매도하는 양적긴축(QT, Quantitative Tightening)의 단계로 진행됩니다.

      즉 테이퍼링 보다 더 심한 돈줄 옥죄기 수단으로 보시면 됩니다.

      테이퍼링은 일반적으로는 연방준비제도(Fed)가 양적완화 정책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나가는 것을 말하는데, 이에 더 나가 양적긴축은 양적긴축은 시중에 돈을 풀지 않고 거둬들이는 단계로서,

      1. 양적완화를 통해 국채등을 연준이 매입해 돈을 풀었다면 양적긴축시에는 만기가 된 채권에 대한 달러가 연준으로 들어오면 이를 그냥 '회수하는 방식이나,

      2. 보다 더 적극적인 방법으로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채권들을 선제적으로 시장에 팔아서 달러를 거둬들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인상외 중앙은행에서 유통량을 조정 및 회수하는 방법등이 있을것으로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물가상승의 원인은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면서 가격이 오르는 점이 문제입니다. 따라서, 대규모 공급확대가 물가상승에 주요 대처법이나 현재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되고 있는 곡물이나 에너지는 단기간내 대규모 공급확대가 어려운 점을 감안할 때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인상도 필수 부분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사실상 금리 인상이 가장 대표적인 통화정책이며, 이 외에 긴축재정정책이라 할 수 있는 세금의 인상, 정부지출의 축소 등도 들 수 있지만 아시다시피 현 정부는 경제 주체에 대한 감세정책을 펴기 때문에 통화정책으로 물가를 잡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