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어디고
어디고

주식을 하다보면 다양한 지표수치들이 있는게 몇가지만 알려주세요

봐도 무슨말인지 모르겠네요 차근차근 하나씩 공부해볼까합니다

우선

  • PER

  • PBR

이게 무슨뜻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가능하시다면 좀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높은게 좋은건지 낮은게 좋은건지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per 주가 + 주당순이익 낮을수록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 대비 주가가 저평가되었다는 의미입니다.

    단 산업 별로 적정 PER이 다릅니다. PBR 주가 +주당순자산 낮을수록 기업의 순자산 대비 주가가 저평가되었다는 의미입니다. 보통 1 미만이면, 저평가로 볼 수 있지만, 성장성이 낮습니다.

    잉크에 제가 적어놓은 증권 용어 정리가 있습니다.

    '한번 보셔도 도움이 되실 겁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PER는 당기순이익을 밸류에이션 하여 주식의 저평가여부를 판단하는 가치지표이며 PBR 현재의 기업이 보유한 순자산가치를 주가와 비교하여 저평가여부를 판단하는 가치지표로 보시면됩니다.

    PER는 Price Earning ratio오의 약자로 순이익대비 주가를 비교한것으로 주당순이익개념이 중요합니다. 즉 회사의 당기순이익에서 유통주식수를 나눈것이 EPS 주당순이익입니다.

    즉 당기순이익 / 전체유통주식수 ( 총 발행주식수로 이해하시면됩니다. ) 그러면 주당순이익이 나오게 되고 이를 현재 주가와 비교하여 배수를 정한것이 PER라는 지표입니다.예를들어 주당순이익(EPS) 만원이 나오면 현재 주가가 10만원이라고 하면 PER배수는 10배이며 이 PER배수가 낮아야 저평가 됬다고 보시면됩니다. 즉 과거의 주가와 과거의 순이익에서 PER밴드가 나올것이며 이런 PER평균밴드가 나오게 됩니다 이 PER와 현재의 PER를 비교해서 판단하는게 일반적입니다.

    PBR는 Price book Ratio의 약자로 주가의 순자산을 주가와 비굫나것입니다. 즉 회사의 북밸류인 순자산 ( 자산-부채=순자산 ) 을 주가와 비교한 지표입니다.

    순자산 / 유통주식수를 나누면 BPS라는 주당순자산이 나오게됩니다. 이 주당순자산을 주가와 비교한것을 말하며 이도 PBR이 낮아야 저평가됬다고 보시면됩니다. 보통 PBR은 적자회사이거나 현재 경기침체로 이익사이클이 좋지 않을때 이 PBR으로 하단을 판단할때 확인하는 지표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PER는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배가 되는 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주가를 주당 EPS로 나누어 계산하게 됩니다. PER가 낮은 주식은 저평가된 기업이라고 볼수도 있겟지만, 반대로 성장 가능성이 낮다고 볼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 하셔야 합니다.

    PBR은 주가순자산비율을 말하며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하여 나타낸 비율입니다. 계산하는 방식은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누어 계산하게 됩니다. PBR이 1도나 낮으면 저평가 반대로 높은 경우가 고평가된 회사라고 볼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PER은 주가수익비율이라고 해서 주가가 그 회사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가를 1주당 순이익(EPS)으로 나눈 것입니다. PBR이란 기업의 자산가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PS)로 나눈 비율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용어 부터 익숙해질려는 태도는 매우 긍정적인 모습이라고 생각 합니다. ^^

    먼저 PER의 경우 Price to Earnings Ratio의 약자로소 "주가수익비율"이라고 합니다.

    주가를 주 당 순이익으로 나눈것으로 실제로 주가가 기업 순이익 대비 몇 배로 거래되는 지 나타내는 지표죠.

    이때 PER이 낮으면 당연히 이익 대비 주가가 낮기때문에 저평가로 판단 할 수 있고 높으면 반대로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PBR은 Price to Book Ratio의 약자로 "주가 순자산"비율이라고 합니다.

    주가를 주 당 순자산으로 나눈것으로 주가가 기업 순자산대비 몇 배로 거래되는지 나타내는 지표 입니다.

    여기서 PBR이 낮으면 자산 대비 주가가 낮기 때문에 주가가 저평가 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PER은 주가수익비율을 의미하는 단어이며,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수치 입니다.

    쉽게 주식의 가격이 기업의 순이익 대비 몇 배로 거래되는지를 확인 가능합니다.

    PER은 낮을수록 좋은데 해당 기업이 저평가 되어있다는 의미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PBR은 주가순자산비율을 의미하는 단어이며,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 수치 입니다.

    주식의 가격이 기업의 자본 대비해서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이 또한 PER과 동일하게 낮을수록 좋으며 저평가 되어있다는 의미로 해석 가능합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