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적으로 가장 오래사는 생물은 무엇인가요?
생물학적으로 가장 오래사는 생물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불로불사의 몸을 가진 생물도 있는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평생 사는 게 있다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생물학적으로 가장 오래 사는 생물에 관한 연구는 매우 흥미로우며, 몇몇 생물 종은 놀라울 정도로 장수하는 능력을 보여줍니다. 특히 그린란드 상어(Lophelia pertusa)와 민고리고둥(Arctica islandica)은 수백 년을 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장수 비밀을 풀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그러나 생물학적 불사에 가장 가까운 종은 터보텔리스 젤리피쉬(Turritopsis dohrnii)로, 이 해파리는 사춘기 성체 단계에서 손상이나 스트레스를 받앗을때 자신의 생명주기를 초기 단계로 되돌릴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 현상은 '생물학적 불사'로 종종 언급되며, 노화 과정을 되돌리는 능력으로 인해 많은 과학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생물학적 불사라는 개념은 완전한 불멸을 의미하지 않으며, 모든 생명체는 결국 환경적 요인이나 질병에 의해 생명을 마감하게 됩니다. 그러나 터보텔리스 젤리피쉬와 같이 생명주기를 반복할 수 있는 생물들의 연구는 인간의 노화 연구 및 질병 치료 방법 개발에 중요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생물들의 생리학적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과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일로, 장기적으로는 인간의 수명 연장에도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줍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가장 오래 사는 생물 중 하나는 그린란드 고래로, 최대 200년 이상 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또한, 바다나무와 같은 일부 해조류는 수천 년을 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생물은 특정 수명에 제한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발견된 생물 중 가장 오래 사는 생물은 그린란드 상어라 할 수 있으며 추정 수명이 500년정도입니다.
그리고 학계에서 이견없이 불로불사의 몸을 가진 생물은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모든 생명체는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질병 등 다양한 이유로 노화하고 죽음을 맞이합니다.
물론 이론적으로 불로불사에 가까운 생명체로 언급되는 해파리를 포함하여 몇몇 생명체가 있지만, 여전히 학계에서는 논란이 많고, 명확히 밝혀진 것은 아닙니다.
실제 텔로미어나, 활성산소, 유전적 요인 등으로 불로불사는 생물학적으로는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죠.
텔로미어는 염색체 끝부분에 위치한 텔로미어는 세포 분열 때마다 짧아지는데, 이는 노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활성산소는 우리 몸의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세포를 손상시켜 노화를 촉진합니다. 또한 유전자에 담긴 정보는 우리의 수명을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칩니다.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사실 바다거북, 굴 같은생물도 오래 살긴 한데, 가장 오래 사는 생물은 그린란드 상어로 400세 이상 살 수 있습니다. 불사조 해파리는 노화를 되돌릴 수 있어 사실상 불사의 생물로 알려져 있구요. 세상에 흥미로운 생물들 많습니다.
생물학적으로 가장 오래 사는 생물 중 하나는 그린란드 상어로, 약 400년 이상 살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나무, 예를 들어 브리슬콘 소나무는 5,000년 이상 살아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불로불사의 생물로는 해파리 중 Turritopsis dohrnii라는 종이 있는데, 이 해파리는 성숙 후 다시 어린 상태로 돌아가면서 사실상 생물학적으로 불멸에 가까운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생물은 자연적인 노화 과정을 겪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