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로교와 침례교의 근본적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우리나라 기독교 대표적인 종파로 장로교와 침례교가 있는것으로 알고있는데요.
두종파의 차이는 세례받는것의 차이정도만 알고 있는데, 근본적인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침례교와 장로교의 가장 큰 차이는 회중의 구성입니다. 장로교회는 유아세례를 주지만 침례교회는 유아세례를 반대하는 데서 부터 출발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침례교회는 자기가 스스로 신앙을 고백할 수 있는 신자에 한해서 구성되는 순수한 회중만으로 교회를 구성하고자 합니다. 즉 초대교회 같은 순수한 교회의 구성이 침례교회의 이상입니다. 즉 국가교회에 가장 반대하는 교파가 침례교파입니다. 만일 유아세례를 진지하게 시행하면 그런 교파들은 반드시 국가교회를 주장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루터교회, 장로교회...같은 경우 국가교회가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개혁하였지만 여전히 천주교와 같은 국가교회 시스템을 유지하게 된다는 점에 침례교인들은 불만을 가졌던 것입니다.
그리고 침례교회는 완전침수에 의한 침례를 주는데 반해 세례를 주는 교파들은 약식세례를 줍니다.
또 가장 중요한 차이점 중에 하나는 교회의 정치입니다. 침례교파와 같이 회중교회 시스템에서는 교회 위에 상위교회가 없습니다. 즉 장로교 같은 노회나총회라는 게 없습니다. 침례교회는 목사외의 장로가 없으며 교회 정치는 집사, 목사 이층제입니다. 교회는 모든 교회가 다 동일하게 자기 결정권을 가진 충족한 교회로 봅니다. 그러므로 침례교회 같은 경우 지방회나 총회는 선교와 교육을 위한 친교회이지 지역교회의 상위 의사결정기구는 아닙니다. [최소한 개념상으로는]
장로교회는 지역교회의 당회[담임목사와 장로들로 구성됨], 노회[지역교회가 파송한 장로와 목사의 대표들로 구성됨], 총회가[노회가 파송한 총대들로 구성됨] 의사결정기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