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부동산

강한낙타35
강한낙타35

향후 10년간 부동산 전망이 궁금합니다.

앞으로 향후 10년간 인구 변화에 따른 부동산 전망과 방향이 어떻게 변화될 지 궁금합니다. 고수분들 의견 듣고싶습니다. 답변 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가격을 결정하는 수요와 공급에서 인구는 수요에 해당합니다. 즉 인구가 감소하면 수요 감소요인이고 이는 부동산 가격하락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론상은,,

    다만, 부동산 시장의 경우 영향요소가 많고 시장 변화에 따라 변화가능하다는 점이 있기에 이론만을 가지고 단순하게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개인적인 판단으로는 인구감소가 수요감소로 이어지는 것은 불가피하나, 시장에서 1인가구 증가나 수도권 쏠림현상을 고려해 볼때, 지방내 주택가격은 10년 후 거의 하락추세가 나타날 것으로 보이고 수도권은 지방에비해 그 영향이 크지는 않겠지만 ,소형평수의 가격은 유지 및 상승가능성이 있으나, 대형평수 주택은 하락세로 이어질것으로 생각되어 집니다.

  •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주기는 10년으로 움직인다는 통설이 있지만 , 그 추세는 점차 짧아지고 있습니다.45년동안 꾸준하게 우상향 하는 그림이 그려졌으며, 크게 조정을 받은 시기는 90년대 초반 1기 신도시 공급 , 98년 IMF , 08년 미국 리먼 브러다시 파산 및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한 침체를 제외하곤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그리고 22년 하반기 ~ 현재 진행중으로 침체시기이자 조정을 받고 있는 시점입니다.

    터널의 끝은 보이는듯 한데요, 빠르면 2023년 말 늦어도 2024년 상반기까지는 이흐름이 유지되리라 보며 이후 금리인하의 신호와 함께 서서히 계단식 우상향 하는 흐름을 보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실수요자들은 한번 더 급락할 시기가 올 거라는 비관론 전문가들의 예측에 기대를 하며 적절한 매수 타이밍을,

    매도인들은 반등의 시작을 알리는 낙관론 전문가들의 뉴스에 귀 기울이며 기다립니다.

    정답은 없습니다. 예측 할 순 있겠으나 단정 지을순 없습니다.

    극단적으로 단정짓는 전문가의 말은 신뢰하지 마세요.

    매수 혹은 매도 계획이 있으시다면 누구의 말도 참고만 하실뿐 본인의 기준을 잡아 놓으시길 바랍니다.

    이리 재고 저리 주저하다 타이밍만 놓치고 그때 그럴걸 후회만 남습니다.

    본인이 정해놓은 기준에 들어오면 주저말고 매수 또는 매도 하십시오.

    아무일도 하지 않으면 아무일도 일어 나지 않습니다.

    무슨일이던 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아무도 모릅니다.

    좋은 상권에 나쁜입지도 있고, 나쁜상권에 좋은 입지도 있습니다.

    부동산 하락 시기에도 좋은 매물이 있을수 있고 상승시기에도 나쁜 매물이 있을수 있습니다.

    내가 정해놓은 기준을 충족하면 더 하락할지 상승국면인지 따지지 말고 주변말에 휘둘리지 마시고 신념을 갖고 취하시면 좋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관점은 저출산고령화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심각한 수요 부족으로 특정지역을 제외하고는 아주 큰 하락이 예상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