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금쪽같은홍여새204
금쪽같은홍여새204

Per이 낮으면 무조건 좋은기업인가요?

per이 낮을수록 저평가된 기업이라고 공부를 했는데 테슬라 per이 100배가 넘었을때를 보고 단지 per만으로 저평가 고평가를 평가하기는 맞지않는구나 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렇다면 per과 같이 보면 좋을 지표같은게 따로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per가 무조건 낮다고 좋은 기업이 아닙니다.

      per도 주식할때 참고사항이지 절대사항이 아니죠

      테슬라만 봐도 그렇습니다

      주식은 실적과 더불어 그 기업의 영향력을 보고 투자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는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값으로 per가 낮을수록 저평가된 기업이라고 알려져있지만 기업재무평가를 per 하나로 보는것이 아닌 pbr과 roe그리고 이브이에비타등 여러가지 지표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아닙니다. PER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산업 자체가 '사양산업군'이거나, 기업 자체의 성장이 정체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기 때문에 마냥 좋은 것은 아니며, PER과 함께 보면 좋은 지표로 PBR, PSR, ROE, ROIC 등의 지표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퍼)는 주가와 주당순이익을 비교하는 시장가치비율을 말합니다.

      산식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누는 것인데, PER가 낮을 경우 해당 회사가 거둔 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고 그에 따라 기업의 가치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고 PER가 높으면 거둔 이익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되었음을 의미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PER가 높다/낮다는 주관적인 판단요소가 될 수 있고, 사실 일반적인 PER의 높/낮다를 해석하는데 있어 긍정적/부정적 해석이 둘 다 나올 수 있습니다.

      1-1. PER이 낮다.(저PER, 긍정적)

      = 기업의 내재가치 대비 시장가치가 낮다.

      = 기업의 내재가치 대비 주가가 싸다.

      = 수익성과 성장성, 위험성을 고려하였을때 양호하다 판단됨에도 시장에서 저평가 받고 있다. (가치주)

      = 투자하기 적합하다

      1-2. PER이 낮다. (저PER, 부정적)

      = 기업의 내재가치 대비 시장가치가 낮다.

      = 수익성, 성장성, 위험성을 고려하였을 때, 좋아 보이지 않으므로 시장에서 낮게 평가 받고 있다.

      = 회사의 경쟁력 약화 및 시장환경 악화 등의 의해 시장에서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

      = 투자하기 부적합하다.

      2.1 PER이 높다. (고PER, 긍정적)

      = 기업의 내재가치 대비 시장가치가 높다.

      = 기업의 내재가치 대비 주가가 비싸다.

      = 시장에서 내재가치에 비해 고평가 받고 있다. 

      = 투자하기 부적합하다

      2-2. PER이 높다. (고PER, 부정적)

      = 기업의 내재가치 대비 시장가치가 높다.

      = 현재 회사의 실적보다는 미래의 신제품 출시 등으로 높은 성장이 기대되어, 시장에서 높게 평가받고 있다. (성장주)

      = 투자하기 적합하다.

      따라서 PER는 해당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하나의 요소일 뿐이고 투자 여부는 본인의 기준으로 신중하게 접근하셔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