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연옥이라는 개념은 언제 만들어졌나요?

가톨릭의 교리에 있는 연옥은 천국도 지옥도 아닌 중간 단계라고 할 수 있죠.

그런데 이 개념은 초기 기도교에도 없었고 또 이후의 개신교는 면옥을 부정하구요.

이 연옥이 등장하게 된 것이 중세 시대라고 하는 견해도 있는데 어떤 배경이나 목적으로 일종의 천국과 지옥의 중간 단계가 필요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연옥의 개념은 기독교 역사에서 중세에 발전한 독특한 내세관입니다. 연옥이라는 용어는 라틴어 "Purgatorium"에서 유래하며, "정화의 장소"를 의미합니다.

    연옥 개념은 12세기 기독교 신앙 속에 자리 잡으며 죽은 자들이 정화 과정을 거치는 중간적 저승으로 인식되었습니다. 이는 고대 그리스, 로마 저승관과 초기 교부들의 사상에서 영향을 받아 발전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저도 역사교육을 전공하면서 서양사학사를 통해서 연옥에 대해서 배웠던 것이 기억이 나네요. 연옥의 탄생이라는 책도 읽고 발표도 했던 기억이 나는데, 연옥은 천국에 가기 전의 단계로서 미처 정화되지 못한 영혼이 여기서 추가적은 교화의 시간을 통해서 정화가 되면 천국으로 간다는 천국의 전단계 정도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사실 연옥은 기독교 이전의 유대교에서도 볼 수 있는 것이며, 동양에서 불교 또한 망자의 사후에 살아있는 자들이 기도하고 제물을 바치면 죽은자의 영혼이 정화될 수 있다라는 개념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기도 하죠.

    연옥에 대해서는 카톨릭 쪽에서는 인정하고 있으나 개신교(루터교, 장로교, 감리교 등) 쪽에서는 인정하지 않고, 살아 생전에 스스로 정화하고 영혼을 가다듬어야 천국으로 간다는 것을 믿고 있다는 것이 차이가 있죠.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