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비둘기
비둘기23.02.22

중세시대에 기독교가 카톨릭과 개신교로 분리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중세시대의 역사를 보면 카톨릭이 먼저 생긴 이후 나중에 개신교가 생겨서 분리가 되었는데요


질문드립니다.

중세시대에 기독교가 카톨릭과 개신교로 분리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종교개혁은 천주교의 교리적 부패와

    제도적 윤리적 타락을 타파하기 위해

    성경의 원리로 돌아가는 운동이었다.

    종교개혁의 발생을 크게 두 근원으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하나는 독일 비텐베르크의 루터이고

    다른 하나는 스위스 취리히의 츠빙글리이다. 루터의 종교개혁이 천주교의

    비성경적인 기독교 교리를 개혁하는

    일에 주력했다면 츠빙글리의

    종교개혁은 천주교의 비성경적인

    기독교 관습과 제도를 개혁하는 일에

    주력했다. 그리고 이 둘은 동전의

    양면처럼 종교개혁의 가장 중요한

    핵심 내용이 되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양에서의 개신교가 나타난 이유는 기존 카톨릭의 부패가 너무 심해지자 개신교가 나타 납니다. 16세기 루터, 칼뱅 등의 종교개혁의 결과로 로마 가톨릭에서 분리하여 성립된 그리스도교의 분파를 모두 일컬어 개신교라 합니다. 현재 개신교는 가톨릭과 정교회와 더불어 그리스도교의 3대 교파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중세 시대 후기에 기독교는 카톨릭과 개신교로 분리되었습니다. 이것은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가 1517년에 성경 번역서를 발표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루터는 로마 카톨릭교회에서 신앙 강요와 복음서의 가르침과 실천 사이의 모순을 비판하고, 개신교 운동을 시작하였습니다. 이후에는 개신교의 신앙성이 강조되고, 각 지역의 국가주의와 관련하여 종교 개혁 운동이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기독교는 다양한 종파로 나뉘게 되었으며, 이는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세 시대에 기독교가 카톨릭과 개신교로 분리된 계기는 종교 개혁(Reformation)이라고 합니다. 16세기 초 유럽에서 일어난 종교 개혁 운동은 로마 카톨릭 교회의 부패와 타락을 비판하면서 시작되었고, 마르틴 루터, 요한 칼빈, 헨리 8세 등이 이 운동을 주도했습니다. 이들은 성경을 중심으로 하여 인간의 구원을 얻는 길에 있어 중개자가 필요하지 않다는 신앙 개념을 주장하면서 로마 교회의 권위를 거부하고 새로운 교리와 신앙 실천 방식을 제시했습니다. 이로 인해 기독교는 카톨릭과 개신교로 분리되었으며, 개신교는 다시 여러 종파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이후로도 기독교 내부에서는 여러 차례 분열과 합병이 일어나면서 다양한 종파와 교리가 형성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카롵릭과 개신교의 이념과 사상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일단 제일 큰 계기는 카톨릭이 면세부를 팔아서 이걸 사면 누구나 천국에 갈 수 있다 하였고 많은 기독교인은 이것이 잘못됬다고 생각해서 개신교로 전환했스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