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Jy천사1004
Jy천사100423.12.14

카톨릭에서 기독교가 분리된 이유는?

안녕하세요? 유럽에서 중세시대에 카톨릭 교황체제에서 기독교가 분리된것으로 알고있는데요 왜 분리가 된것인지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14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종교개혁을 기점으로 카톨릭과 개신교가 분리되었습니다.

    종교개혁은 1517년 마르틴 루터가 95개조 반박문을 발표한 것을 계기로 시작된 기독교 내부의 대규모 개혁 운동을 일컫는 말입니다. 이 사건은 단순히 기독교의 역사뿐만 아니라 세계사에 거대한 영향을 끼친 사건으로 평가되며, (세부적으로는 시선 차가 있지만)이 시기를 기준으로 중세와 근대를 구분합니다. 종교 개혁의 결과로 가톨릭에서 분리된 교회들을 통틀어 개신교라고 부릅니다.

    그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교개혁은 특정한 개인이나 계기가 그 원인이라고 보기 어렵고, 다양하고 복잡한 요인들이 맞물려서 일어난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가령 인쇄술이 없었더라면 마르틴 루터의 저작이 독일 전역으로 빠르게 퍼져나갈 수 없었을 것입니다. 이 경우 우리가 아는 종교개혁은 독일 지역 수도자들 사이의 논쟁으로 그쳤을 가능성도 있다. 기술적인 요인 뿐 아니라 각종 사회적인 문제들이 얽혀있기에 종교개혁의 배경을 한 마디로 요약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표면적으로는 면죄부, 성유물 판매 등 가톨릭교회의 부패상에 대해 마르틴 루터가 비판한 것이 종교개혁의 시발점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에는 문제가 많습니. 우리의 눈에는 면죄부나 성유물 판매가 심각한 부패로 보이지만, 그 정도 부패는 이전 시대의 부패에 비하면 훨씬 나아진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부패에 대한 비판이 곧장 교리의 개혁으로 연결되는 것도 아닙니다. 성직자들의 부패가 문제라면 부패한 성직자들의 행위를 비판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상식적입니다. 하지만 마르틴 루터는 부패의 원인을 신학에서 찾았습니다. 루터에게 있어 교회의 부패는 잘못된 신학의 여러 결과 중 하나일 뿐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음.. 살짝 잘못 이해하신거 같은데 기독교는 예수님 믿는 종교 전체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카톨릭, 정교회, 개신교, 오리엔트 정교회, 네스토리우스교 등등이 전부다 기독교 입니다.

    이중에서 제일 대표적인 신교분리, 그러니까 카톨릭=천주교과 개신교=프로테스탄트의 분리를 설명하자면

    당기 카톨릭은 종교의 권위를 이용해서 막강한 권력을 누리고 있었기 때문에

    면죄부나 마녀사냥을 비롯한 각종 악덕사업을 벌이며 사치와 타락이 만연한 상황이었고

    그때문에 루터나 칼뱅 같은 신학자들이 종교개혁을 외치며 교황청타도를 선언했습니다.

    그래서 구교=카톨릭=천주교=교황믿음

    하고 신교=프로테스탄트=개신교=교황안믿음

    으로 분리된 것이죠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세의 카톨릭 교회는 부정과 부패등으로 무제가 많았고 이를 계기로 카톨릭의 종교개혁은 가톨릭이 교세를 회복하려는 자체 개혁작업에 나서면서 본격적인 종교 분쟁의 양상을 띠게 되었고 가톨릭 종교개혁의 선봉에 칼빙과 루터 등이 기독교가 카톨릭으로부터 독립 되어 나온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독교는 구교와 신교로 나누어지는데 구교에는 로마의 카톨릭(천주교)과 그리스정교가 있습니다. 신교는 개신교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기독교=개신교로 생각하는데 기독교는 포괄적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신교는 프로테스탄티즘(신교주의)로 불리는 마르틴 루터와 칼벵이 주도한 종교개혁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성서 제일주의와 만인 사제주의를 주창한 마르틴 루터는 성서를 중심으로 누구나 신과 만날 수 있는 존재임을 강조한 것입니다. 천주교는 로마의 카톨릭으로 로마의 주교이자 바티칸 시국의 국가원수인 교황을 수장으로 하는 그리스도 교단이며 성좌와 일치하는 교회를 통틀어 말합니다. 개신교는 16세기 종교개혁의 결과로 로마 카톨릭 교회에서 떨어져 나와 성립된 종교 단체 또는 그 분파를 통틀어 이야기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6세기 서방교회의 사회, 정치적 문제로 인한 개혁, 즉 종교개혁 요구에 대하여 찬성파와 반대파로 나뉘었고, 서방교회의 종교개혁을 찬성하고 주도한 성직자들이 '개신교회'로, 서방교회 종교개혁을 반대하고 기존 제도를 지지한 성직자들은 '천주교회'로 양분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루터에서 시작되었다고 보나, 사실 10세기 창부정치에 대한 비판, 12세기 정치화한 서방교회에 대한 아씨시의 성 프란치스코의 정화 운동, 14세기 아비뇽 유수 사건 비판 등으로 서방교회 개혁 주장이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15세기와 16세기 서방교회의 심각한 문제로 인해 루터 전후에 다양한 지역에서 거의 동시다발적으로 '복음'을 중심으로 하는 개혁운동들이 전개되었다. 개신교는 초창기에는 특정 교파를 중심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복음'을 다시 회복하고 '복음'을 교회의 중심에 두고자 하는 변혁 활동으로 서방교회 내부의 기독교 운동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