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굳건한사슴벌레152
굳건한사슴벌레15222.10.28

실존주의 철학이란 무엇일까요?

실존주의 철학에 대해 매체를 통해 접하였습니다. 간단한 정보 정도였는데요. 좀 더 깊이있게 이해하고 싶어서 여기에 질문 올립니다. 실존주의 철학의 특징이 궁굼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역사적으로 제1차 세계대전의 패전국 독일이 사회적 불안감으로 절망의 늪으로 빠져들면서 개인의 주체성을 강조하는 실존주의 사조가 등장하게 됩니다.

    사회적 위기감 소외감 절망 등이 엄습함에 따라, 본질에 앞선 실존의 개념으로 인간의 주체성을 회복시키려는 것입니다. 허무주의로 치달을 수 있는 절망적인 한계 상황을 개인과 세계를 연결시켜 극복시킵니다.

    야스퍼스 하이데거 등의 실존주의 철학은 바르트 불트만 등의 신학자에게도 영향을 끼칩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실존은 반드시 본질어 앞선다 혹은 주관성이 출발점이 되어야한다 라고 생각하는것인데, 실존주의는 나는 무엇인가?그리고 나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에 대한 물음으로 선택을 통해 자아를 형성하는 인간의 존재방식을 말한다 인간은 태어난 이상 자신의 삶을 자신이 선택할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선택에 대한 불안감에 압도 되면서도 그 선택의 자유를 통해 자신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존재라는것이다. 칸트와 헤겔로 대표되는 이전까지의 철학이 "객관적 이성"을 인간 존재의 근거로 보았다면 실존주의는 "자신의 삶과 자유"를 인간 존재의 근본으로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실존주의 철학은 이름 그대로 해석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본질 탐구의 철학으로 합리주의 철학을 반대하는 입장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의 단독적인 현실적인간을 자각적 존재로, 실존의 구조를 인식하고 해명하려하는 철학적 사상입니다

    즉, 합리주의적 철학의 입장을 반대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실존주의 사상은 제1, 2차 세계대전 결과 비인간화 인간성상실 인간소외현상과 과학기술문명에 대한 비판으로 비이성주의 반이성주의를 내세우면서 등장하였다.

    신을 긍정하는 키르케고르(신앞에 선단독자) 야스퍼스(한계상황) 마르셀(신의 존재) 등의 유신론적 실존주의와 신을 부정하는 하이데거(현존재:죽음을 자각하는 존재) 사르트르(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카뮈(부조리) 등의 무신론적 실존주의자들을 들 수 있다. 실존주의는 한마디로 주체성회복을 강조한 사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