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23.02.06

근대철학중 실존주의 철학이라는 개념이 무엇인가요?

최근 인문학관련 영상을 보다가 실존주의 철학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더군요. 데카르트 니체등의 철학이후에 나온 개념인데 이 시대적 배경과 근간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2차 세계대전 후 과학, 기술 문명의 발달은 빈곤의 문제를 해결하였지만 인간의 평균화, 기계화, 대중화로 인간소외의 불안의식을 의식하면서, 인간의 주체성을 말살하는 역현상도 초래하였다. 그리하여 이러한 역사적 상황을 반영하여 출발한 사상이 바로 실존주의 철학 사상이다.

    출저
    실존주의의 등장배경 - 레포트월드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실존주의 철학은 개인으로서 인간의 주체적 존재성을 강조하는 문예사조입니다.

    본질 탐구의 철학으로 합리주의 철학을 반대하고 개개의 단독자인 현실적인 인간 즉 현실의 자각적 존재로 실존의 구조를 인식, 해명하려고 하는 철학사상입니다.

    1940년대와 1950년대 프랑스와 독일에서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쇠렌 키르케고르와 프리드리히 니체를 기원으로 봅니다.

    고대사회에서는 자연에 대한 경외심과 신비감을 가지고 변화무쌍한 자연에 순응함이 인간의 유일한 목적이었지만 중세로 접어들며 인간의관심은 인간과 자연은 물론 우주질서를 지배하는 신에게 모두 넘어갔습니다.

    이때부터 인간의 도덕율은 무너지고 기계문명의 발달로 인간 소외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인간상실의 시대가 열리고, 여기서 인간의 재검토, 인간의 조건, 실존의 문제가 일어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실존주의 철학이라는것은 본질보다 실존이라는것이 항상 앞선다라는것을 의미합니다. 즉, 원래 만들어진 목적이 충족되어지는것이 실제로 존재하는 형태보다 중요하다라는것을 말합니다.

    인간의 본질이 무엇이냐하는것은 그 사람이 어떻게 살고 있느냐에 의해 결정 됩니다. 즉, 인간은 무한한 자유를 가지고 있어서, 괴롭지만, 신의 의지로 회귀하여 그것을 극복하여야한다고 키르케고르는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