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프절 질문(어깨, 겨드랑이, 목, 그리고 두통)
제가 옆구리, 왼쪽 안쪽, 겨드랑이 쪽 경미한 통증, 묵직함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계속 그런게 아니라 잠깐씩 그래서 별 문제를 못느꼈습니다.
그리고 일주일 전 오랜만에 줄넘기를 했습니다. 그랬더니 아침에 목이 아파서 이곳저곳 만져보니 턱밑에 커다란 멍울, 혹이 있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니 침삼킬 때 왼쪽 목에 감각이 없고 왼쪽 얼굴에 감각이 둔해진 것을 느꼈습니다. 엄청 불안했지만 그래도 일주일이 지난 현재 멍울 크기는 줄었고, 왼쪽 마비 증상이 있던 것이 돌아왔습니다.
그런데 그때부터 무거운 가방을 들거나, 팔운동을 하면 왼쪽 승모근, 목, 귀, 눈, 두통까지 동반됩니다. 이게 림프절 쪽에 큰 문제가 있생걸까요? 먼가 제 신체 왼쪽 상체가 고장난 것을 느껴서 질문을 드립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말씀하신 증상들은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목의 멍울이나 림프절 비대는 감염이나 염증에 대한 정상적인 면역 반응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줄넘기와 같은 갑작스러운 운동 후 근육 긴장이나 경부 긴장으로 인해 일시적인 목 통증과 림프절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왼쪽 상체의 통증, 눈, 귀, 두통까지 연결되는 증상은 경추 문제나 승모근 긴장으로 인한 연관통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증상이 일부 호전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얼굴의 감각 변화나 지속적인 통증이 있다면 신경과적 평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림프절은 면역 체계의 중요한 부분으로, 감염이나 염증, 또는 다른 원인으로 인해 부어오를 수 있습니다. 질문자분께서 경험하신 증상은 갑작스러운 운동 후 나타난 변화로 보이는데, 이는 몸의 피로나 스트레스로 인해 일시적인 반응일 수도 있습니다. 줄넘기와 같은 격렬한 운동 후 근육통이 발생할 수 있는데, 특히 평소 잘 사용하지 않던 근육을 갑작스럽게 사용할 때 흔히 나타납니다.
목 부분의 멍울이나 혹은 림프절 부종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림프절은 감염 등에 반응하여 일시적으로 부을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크기가 줄어들기도 합니다. 질문자분께서 말씀하신 대로 멍울의 크기가 줄어들고, 얼굴의 감각도 돌아왔다면 이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불편감이 있거나 증상이 다시 나타난다면 병원에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무거운 가방을 들거나 운동 후 발생하는 두통 및 승모근의 불편감은 근육 긴장이나 체력 소모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휴식을 취하고, 과부하가 걸리지 않는 운동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증상이 지속되거나 점점 심해진다면,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하여 보다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림프절은 면역계의 일부로, 감염이나 염증, 드물게는 종양 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부을 수 있습니다. 질문 주신 상황을 보면, 줄넘기 이후 나타난 갑작스러운 목 통증과 턱밑 멍울, 침 삼킬 때의 감각 변화 등은 일시적인 림프절염이나 근육 긴장, 또는 신경 압박에 의한 증상일 수 있습니다.
특히 운동 후 근육이나 신경이 과도하게 자극되면 턱 밑이나 목 주변의 림프절이 반응해 붓거나 통증을 유발하기도 하며, 턱밑 림프절은 감기나 구강 문제, 목 주변 염증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죠.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일부 호전되었다면 급성 염증 반응일 가능성이 커 보여요
하지만 여전히 왼쪽 목부터 귀, 눈, 두통까지 이어지는 증상이 지속되고, 가방을 들거나 팔을 움직일 때 증상이 악화되는 점은 단순 림프절 외에 경추 디스크, 신경 압박, 혹은 근막통증증후군 같은 근골격계 문제도 함께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특히 승모근과 목 주변 통증은 장시간 가방을 매거나 운동으로 무리가 가해졌을 때 흔히 생기며, 이로 인해 림프절과 함께 신경계까지 자극될 수 있습니다. 증상이 계속된다면 이비인후과나 신경과, 혹은 영상검사를 병행할 수 있는 병원에서 정밀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