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갸름한원숭이116
갸름한원숭이116

과거에 통금시간 제한이 있었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군사정부 시절에는 일정 시간이 넘어가면 집 밖으로 나올 수 없도록 통금시간에 제한이 있었는데, 군사정부 시절에 통금시간에 제한을 두었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야간통행금지는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시대에도 실시된 적이 있으며 전근대사회의 야간통행금지제도는 치안상의 필요가 주된 이유입니다.

      광복 후 야간통행금지제도는 미군이 진주한 직후인 1945년 9월8일부터 시작되었으며 미 제24군 사령관의 일반명령에 의해 경성, 인천 두 지역에 밤 8시부터 아침 5시까지의 통행금지령을 발포했습니다.

      9월29일 일반명령을 개정한 야간통행금지령을 발포하고 미국 육군이 점령한 조선지역 내 인민에게 밤 10시부터 새벽4시까지 야간통행금지가 포고됩니다.

      통행금지제도는 한국 전쟁이후 확대되었고 1954년 4월1일 경범죄처벌법에 전시, 천재지변 기타 사회에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때 내무부장관이 정하는 야간통행 제한에 위반한 자라고 규정되어 야간통행금지 위반자가 구류, 과료에 처하게 되면서 법령에 의해 제도화 되었습니다.

      이 제도는 사회 공공질서 유지 및 질서 확립의 책임을 담당하는 역할로 작용했으나, 근본적으로 사상 통제, 국가안보 수호, 정치적 저항세력 억압을 위해 국민들의 시, 공간을 제한하는 기능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주로 치안과 화재예방을 위해 통금시간이 있었다고 하며 근대 우리나라에도 치안을 위해 통금을 했다고 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