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

사람은 왜 야행성이 아닌 아침형인간인가요?

박쥐는 야행성 동물인 반면에 사람은 야행성이 아닌 동물이잖아요?

사람은 왜 해가 떠있을때에만 활동하는 체질로 되어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간은 시각에 크게 의존하는 동물입니다. 낮은 밝은 빛을 제공하여 먼 거리와 넓은 범위를 볼 수 있게 하며, 이는 사냥, 채집, 이동 등의 활동에 유리합니다. 반면, 야행성 동물들은 야간에 효과적으로 볼 수 있는 특화된 시각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 비타민 D를 합성하는 데 햇빛에 의존합니다. 햇빛에 노출되는 것은 건강 유지에 필수적인 비타민 D의 합성을 촉진하여, 뼈의 건강을 유지하고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인간의 내부 생물학적 시계, 즉 서캐디안 리듬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낮 동안 활동하고 밤에는 휴식을 취하도록 조절합니다. 이 리듬은 호르몬 분비, 체온, 대사 활동 등과 같은 생체 기능을 조절하여 낮에 활동적이고 밤에는 수면을 취하도록 합니다.

  • 사람의 눈은 낮에 활동하기에 적합한 시각 구조를 갖췄으며, 이는 빛에 민감한 원추세포의 발달로 인해 밝은 환경에서 색상과 디테일을 잘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진화는 낮 동안의 사냥과 채집 활동, 비타민 D 합성, 생체 리듬 조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사람이 아침형 인간인 이유는 생리학적으로 주기적인 환경 변화에 적응해온 결과입니다. 인간의 생체리듬은 주로 햇빛에 영향을 받으며, 이를 통해 하루 동안 각성 상태와 수면 사이의 균형을 조절합니다. 이 과정에서 빛은 뇌의 시상하부에 있는 'SCN'을 자극하여 멜라토닌 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합니다. 이 호르몬은 밤에 수면을 유도하고 낮에는 활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인류는 주로 낮에 사냥과 채집 활동을 해왔고, 낮 동안 빛을 활용하는 것이 생존에 유리했기 때문에 진화적으로 낮에 활동하는 체질을 가진 것으로 보입니다어두운 환경에서 활동하는 데 적합한 특성을 진화시켜, 야행성으로 발전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이는 여러가지 설? 추론들이 있는데요

    어떤 연구에서 사람의 눈은 어두울때 잘 안보이게 발달을 한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이는 비교적입니다 다른 동물에 비해

    반면 박쥐는 어두운 곳에 잘 적응 하게 발단한거죠 눈이

  • 박쥐처럼 밤에 활동하는 동물들과 달리, 사람이 낮에 활동하는 주행성 동물이 된 이유는 인류의 진화 과정와 연관됩니다.

    초기 인류는 주로 아프리카의 열대 지방에서 살았는데, 낮에는 뜨거운 햇볕을 피해 그늘에서 쉬고, 서늘한 밤에 활동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점차 다양한 환경으로 이동하면서 낮에 활동하는 것이 더 생존에 더 유리한 환경이 되며 주행성의 특징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즉, 초기 인류는 낮에 활동하며 주변 환경을 파악하고 포식자를 피하며 먹이를 찾는 데 유리한 시력을 발달시켰고 이는 오히려 밤에는 시력이 좋지 않아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또한 인류는 사회적 동물로서 낮에 유리한 시력을 진화시켜 피아식별이 가능한 낮에 함께 모여 활동하며 의사소통하고 협력하며 살아왔습니다. 밤에는 어둠 속에서 소통이 어렵고 단독 생활을 해야 했기 때문에 사회성 발달에 제약이 있었습니다.

    특히 많은 식물은 낮에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열매를 맺습니다. 따라서 낮에 활동하는 것이 먹이를 획득하기 유리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사람이 야행성이 아닌 주행성으로 진화한 것은 수백만 년에 걸친 자연선택의 결과입니다. 낮에 활동하는 것이 생존과 번식에 유리했기 때문에 인류는 시력, 사회성, 먹이 획득 능력 등을 발달시키며 주행성으로 적응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사람은 어두워지면 멜라토닌이라는 성분이나와

    졸음을 일으키고 낮이되면 이 수치가줄어

    잠이깨워집니다.

    주로 밝은빛에대한 시각적인 부분이 잘 발달해있기때문에

    두 눈을통한 사냥이나 채집을하기위해 낮에 활동하게 됩니다.


    반대로 밤의 시각적인부분은 발달되어있지않은데,

    특히 야행성동물이 갖고있는 눈안의 반사판이 없기때문에

    밤에활동하기가 너무나도 제한적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사람은 신체구조상 낮에 활동할 수 밖에 없습니다.

    밤에는 다른 야생동물들보다 시각적인 요소가 뒤쳐지기 때문에

    원활한사냥과 채집이 어렵고 위협에 무방비상태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