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진실된은행나무
진실된은행나무

15프로 마진 계산할때 곱하기1.15 아닌 나누기를 뭘로 해야할까요

10프로 마진 계산할때 곱하기 계산이 아닌 나누기로 하는 계산법 아시나요?왜 나누기로 계산이 필요한지,저는 이해가 너무 안가서 글올려봅니다.

그럼 15프로 마진 계산할때 곱하기1.15아닌 나누기를 뭘로 해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마진 계산 시 곱셈이 아닌 나눗셈을 사용하는 이유는, 원하는 마진율을 기준으로 판매가를 역산하기 위해서입니다. 예를 들어, 원가에 원하는 마진율을 더해 판매가를 계산하는 경우 곱셈을 사용하지만, 반대로 원하는 마진율을 기준으로 판매가를 계산하려면 나눗셈을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5%의 마진을 원한다면, 판매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판매가 = 원가 ÷ (1 - 마진율)

    즉, 원가가 100,000원이고 마진율이 15%라면, 판매가는 100,000 ÷ (1 - 0.15) = 117,647원이 됩니다. 이는 마진이 15%인 판매가를 계산하는 공식입니다.

    이러한 계산법은 마진율을 기준으로 판매가를 설정할 때 유용하며, 특히 세금이나 수수료 등을 고려하여 정확한 가격을 산정해야 하는 경우에 자주 사용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15% 마진을 판매가 기준으로 계산하려면 나누기 0.8696(또는 1 ÷ 1.15)이 아닌, 나누기 0.8696이 맞습니다.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곱하기 1.15는 원가에 15%를 더해 판매가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반면, 판매가에 이미 15% 마진이 포함되었다고 보고 원가를 역산하려면, 판매가를 (1 + 마진율)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1 ÷ (1 + 마진율)로 나눈 값을 곱해야 합니다.

    즉, 원가 × 1.15 = 판매가 → 정방향 마진 계산 / 판매가 × (1 ÷ 1.15) ≈ 판매가 × 0.8696 = 원가 → 역산 방식

    나누기 계산을 하고 싶다면 판매가 ÷ 1.15 = 원가라고 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