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와 내부의 어느정도 온도차가 나여 이슬이 생기나요?
아침 운동중인데 차들마다 이슬이 맺혀 있는데 문득 이란 이슬은 어느정도 온도차가 형성되어야 이슬이 만들어 지는건지 궁금한데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슬이 생기는 정도는 외부와 내부 온도 차이보다는 상대 습도에 더 큰 영향을 받습니다. 상대 습도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포화 상태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상대 습도가 높을수록 이슬이 생기기 쉽습니다.
하지만, 온도 차이도 이슬 생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외부 온도와 내부 온도의 차이가 클수록 이슬이 생성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외부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내부 온도가 따뜻한 경우에는 외부와 내부의 온도 차이가 커져 이슬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일교차가 심하거나 날씨가 추워지게 되면 이슬이 생깁니다. 이슬은 보통 5~10도 정도 차이가 날 때 생긴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겨울철에 많이 나타납니다.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결로현상은 이론적으로 내부와 외부의 기온차이가 14도 이상 날때 발생한다고 합니다
결로발생의 원인은 공기의 습도와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로점이 발생되기때문입니다
결로는 상대습도 90%이상에서는 1도의 온도차이에도 결로가 발생합니다 ^^
감사합니다
좋아요와 추천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그렇습니다 외부와 내부으ㅏ 온도차이가 생기면서 습해지면서 이슬이 발생되는겁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기온 일교차가 10도이상 나는경우 이슬이 잘 만들어지며, 우리나라에는 백로라는 절기로 표현하고있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