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 시장을 어떻게 전망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개인적으로는 미국 주식 시장이
대세 하락 구간으로 접어든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
그간 상승률이 너무 높았다는
생각도 들고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적 리스크도
지속적일것 같은데
향후 어떻게 전망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주식시장과 같은 경우
현재 단기적인 변동성은 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아무래도 계속하여 미래에도 유망할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주식시장은 관세 이휴로 인해, 주가는 하락을 한 상태입니다. 긜고 이러한 주가가 하락 후에, 일정 부분 회복이 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다만 이전의 고점을 아직 회복을 한 것은 아니지만, 중기 이상으로 볼때 이전의 고점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단기로는 고점일 수도 있으니, 내가 어떠한 점을 지향하는지 파악후 매매에 임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 경제는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질지, 아니면 금리 인하로 전환될지에 따라 시장의 유동성과 기업의 투자 심리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금리 인하 기대감은 보통 주식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지만, 물가 상승이 재점화될 경우 금리 인하 시기가 늦춰지거나 다시 인상될 가능성도 있어 시장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일부 전망에 따르면 2025년에도 인플레이션이 Fed 목표치를 상회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주식 시장의 근본은 기업의 실적입니다. 높은 금리와 경기 둔화 가능성 속에서도 기업들이 양호한 실적을 유지하거나 성장세를 이어간다면 시장의 하방 압력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 관련 기술 혁신은 일부 기업들의 생산성 향상과 수익 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 주식시장은 트럼프 정책이나 말 한마디에 크게 반응하고 있기 때문에 섣불리 예측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연초 관세 전쟁으로 급격히 하락했다가, 관세 완화 정책으로 바뀌면서 다시 하락분을 회복한 상태이며 또다시 유럽의 50% 관세 이야기가 나오면서 재차 하락 추세로 전환되는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안정화 되기 전까지는 보수적인 투자를 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주식시장은 여전히 트럼프 리스크가 남아있고 앞으로 3년 이상은 지속적으로 휘둘립니다
따라서 방향을 예상하기 어렵고 현재는 트럼프의 힘이 강력하기 때문에 경기 침체를 막고 있지만
내년에는 큰 위기가 찾아올 수 있다고 예상합니다
그 원인은 달러에 대한 의심과 미국 국채의 니즈가 하락하면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예측을 하자면 말씀하신 것처럼 미국증시 거품에 대한 의견이 많은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저 또한 해당 의견에 동의 하며 향후 지금보다 더 변동성이 크게 주가 하락이 예상 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주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미국 주식은 어느 정도 조정 구간을 거치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계속되는 예측불가의 미국 관세 정책 등으로 인해서
올랐다 내렸다를 반복하고 있는데
이미 여러 전문가들이 미국 주식 고점에 대한 언급도 있었기에
어느 정도 하락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는 s&p500 지수 몇 년전부터 적립식으로 장기투자 중입니다 올해만 보면 s&p500 지수는 -1.34프로 하락했고 작년 고점대비 -5.60 프로 정도 하락했습니다 작년에 나스닥이 28프로 s&p500 이 23프로 올랐으니 올해 조정을 좀 받아도 무난한거죠
트럼프 1기 때도 중국과 관세 전쟁 양상을 보이면서 지수가 단기로 하락했지만 그 이후 반년 후에는 하락폭보다 더 크게 상승한게 미국 증시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단기로 하락 할 수는 있겠지만 장기투자자 관점에서 미국 증시가 하락하는건 매수찬스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