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대범한애벌래285
대범한애벌래285

주식시장에서 자사수 매각은 악재인가요?

안녕하세요 대범한애벌래285입니다.

주식시장에서 기업대표의 자사주매각은

악재인지 호재인지가 궁금합니다.

악재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는 있는데요.

    일반적으로는 악재로 인식됩니다.

    자사주를 매각하게 되면 주가에 타격을 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랜 기간 하향세를 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주주들의 입장에서는 악재로 보여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 매각, 즉, 자사주 처분은 악재로 파악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업이 갖고 있는 자사주 물량이 시중에 풀리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주주들의 1주당 가치가 희석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 매각은 기업의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시장에서 자사주 매각 소식이 나오면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어 주가 상승을 이끌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매각은 악재입니다. 대주주가 본인 지분을 매각하는 행위 자체가 현재 주가 위치가 고평가로 예상되었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본인 회사의 가치를 높다고 판단해서 매각하는거니 당연히 악재입니다.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기업 대표나 임원의 자사주 매입은 해당 주식에 있어 큰 호재로 여겨집니다. 기업 내부사정을 가장 잘 아는 대표나 임원이 주식을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 호재가 있다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거든요. 그 반대인 기업대표나 임원의 자사주 매각은 해당 주식의 악재로 여겨집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 등을 소각하는 것은 보통 기업에게 호재로 작용하게 되나 회사에서 보유한 자사주를 시중에 판다면 이는 보통 악재로 작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에서 자사주 매각은 일반적으로 악재로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신호 효과 (Signal Effect): 자사주 매각은 회사가 자신의 주식이 고평가되었다고 판단하는 신호로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주가 희석 (Dilution): 자사주 매각은 시장에 유통되는 주식 수를 늘리게 되어 주당 순이익(EPS)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자본 조달의 필요성 (Need for Capital): 자사주 매각은 회사가 자본이 필요하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는 회사의 재정 상태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 대표가 자사주를 매각하면 보통 악재로 여겨집니다. 이는 대표가 회사의 미래 전망에 대해 자신이 없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투자자들은 이를 부정적으로 받아들여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 대표의 자사주 매각이 주식시장에서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매각의 목적이 새로운 사업 투자나 m&a를 위한 자금 마련이라면 장기적인 성장 전략으로 볼 수 있지만, 개인적인 재테크 목적으로 매각하면 경영 책임감 부족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또한, 매각 시점에 대한 대표의 시장 판단이 옳을 수도 있지만, 실수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투자자들은 신중히 판단해야 합니다.

    자사주 매각 규모도 중요한 고려사항입니다. 대표이사의 지분율이 크게 감소하면 경영권 약화로 기업 방향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시장에 유통되는 주식 수가 증가하면 주당 수익이 희석되어 주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사주 매각의 영향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매각 규모와 그로 인한 지분율 변화, 시장 유통량 증가 등을 면밀히 살펴봐야 합니다.

    기업의 재무 상태와 성장 전망도 자사주 매각 평가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재무적으로 건전하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이 자사주를 매각하면 더 빠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될 수 있지만,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자사주를 매각하면 악화된 재무 상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과거 자사주 매각 후의 성과와 현재 시장 상황도 고려하여 투자자들은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자사주를 소각하는 게 아니라 매각하는 것이라면 일반적으로 악재이며, 물론 자사주 매각의 이유가 더 중요하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자사주 매각은 악재로 바라보는 시각이 많아요.

    자사주를 매각한다는 이유가 현금을 확보하기 위함인데, 회사 내 어떤 문제가 생겨서 당장 유통할 현금이 부족하다는 말이기에 악재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시장에서 자사주 매각은 악재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기업 오너나 상장 기업에서 자신의 주식을 매각하게 되면

    전체 주가가 내려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거래소나 코스닥에 상장,등록되어있는 기업이 자사주를 매각한다는건 특히 시장에 매각한다는건 악재로 작용합니다. 자사주로 묶여있던 대량주식이 시장에 나오고, 기업도 주식을 매각하니 시장에 매도신호로 비춰지기 때문입니다. 다만 외국인이나 특정 기관에 매각하는경우는 달라질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의 자사주 매각은 유통주식수를 늘리고 주가가 고점이라는 인식을 투자자에게 인식시켜주는 효과가 있어 주가에는 악재로 작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강하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 대표의 자사주 매각은 일반적으로 주식 시장에서 악재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사주 매각은 기업 대표가 자신의 지분을 현금화하는 것으로, 기업의 미래 성장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거나, 자금 사정이 좋지 않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의 신뢰가 하락하고,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악재로 작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기업의 상황에 따라 자사주 매각이 호재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 보통 기업 대표가 자사주를 매입하는 것은 상당히 호재입니다.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 대표가 자자주를 사는 경우 향후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기업 내부 사정을 가장 잘 아는 사람들이 매수했다는 것은 올라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죠

    간혹 책임 경영을 하기 위해 매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는 먼저 말한 것보다는 덜 하지만 그래도 경영자가 책임감 있게 자신의 돈도 투자해서 열심히 노력하겠다는 것이니 호재에 가깝습니다

    다시 보니 자사주 매각을 질문하신 거였군요. 보통 매각은 매입과 반대 의미로 안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