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23.10.23

하품이 전염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하품을 하면 옆사람도 하품을 하고 하품이 마치 전염되는 것처럼 퍼지는데요

하품이 병이나 바이러스도 아닌데 왜 전염 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로 하품이라는 행위 자체가 전염성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심리적인 원인에 의해 피로를 느낌 주변 상대방도 동일하게 하품을 하게 되는 것이죠.

    아니면 하품 자체가 해당 공간 또는 체내 내에 산소가 부족해서 발생할 수도 있는데, 해당 공간에 산소가 부족한 것이라면 같은 공간에 있는 사람들도 동일하게 산소 부족을 느껴서 하품을 할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하품은 전염성이 있는것이 아닙니다. 하품은 우리몸에 공기가 부족할때 일어나는 생리적인 현상인데, 아마 같은 공간에 있음으로 그 공간의 공기가 부족하지 않나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아픔은 뇌 산소 공급이 적게 되면 하게 됩니다.

    다른 사람이 하품을 하게 되면 같은 공간에 있는 사람도 왜 산소가 부족할 수 있다는 경고 신호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하품을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하품이 전염된다기 보다는

    그 장소에 신선한 공기가 부족해서 뇌에서 경고를 보내는 신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하품은 전염성이 강합니다. 피곤하지 않더라도 주변에서 하면 따라하게 됩니다. 이는 동물에서 흔히 나타나는 ‘메아리 현상’으로 그동안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조지나 잭슨 영국 노팅엄대 정신건강연구소 교수팀이 그 이유를 뇌에서 찾았습니다.

    연구팀은 성인 36명을 대상으로 하품을 참을 때 뇌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실험했습니다. 참가자들에게 각각 하품을 하는 영상을 보여주면서, 경두개 자기자극술(TMS)로 뇌 운동 피질의 흥분도를 측정했습니다.

    측정 결과, 개인차가 있지만 보통 하품을 참으려고 할수록 뇌 운동 피질의 흥분도는 증가했습니다. 또 운동 피질에 전기 자극을 가하면 하품 충동이 커졌습니다. 이는 운동 피질의 흥분과 억제에 의해 무의식적으로 하품이 조절된다는 뜻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하품이 전염되는 이유는 다른 사람이 하품하는 것을 보면 우리도 무의식적으로 하품을 따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다른 사람의 하품을 보면 그 사람이 피곤하거나 지루함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우리도 하품을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들은 사회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호작용하는 동안 행동을 본따 따라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품은 일종의 사회적 신호로 작용할 수 있으며, 하품을 보는 것만으로도 우리 뇌는 하품을 일으키는 반사적인 응답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의식적인 호흡 운동에 해당하는 하품은 숨을 깊 게 들이마시게 되면서 몸 속 산소 공급을 더 많이

    받게 되는 경우를 말하는데요.

    일종의 생리활동으로서 반사작용이라고 할 수 있

    어요.

    보통은 졸리거나 지루할 때 나타나는 증상이 하품

    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하품하는이유로는 뇌에 산소를 공급해 주기 위함

    이라고 할 수 있어요.

    모든 동식물들은 살아가기 위해 산소공급이 반드

    시 필요한데요.

    우리의 뇌에서는 일정 수준 농도로 산소를 공급하 고 유지하기 위해 하품이라는 작용을 하게 된답니

    다.

    그래서 사람이 많은 장소에 가면 유독 하품이 나는 이유도 그러한 이유에서 찾아볼 수 있어요.

    하품하는이유로는 뇌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도

    있는데요.


    많은 글들을 보다보면 하품전염에 관한 이야기도

    나오는데요.

    가까이 있는 사람이 하품을 하게 되면 어느 새 자신

    도 모르게 하품을 따라하는 경우가 있어요.

    그래서 하품전염이라는 말이 생기기도 했답니다.

    하품전염은 실제로 친밀감이나 호감도에 따라 달

    라진다고 하는데요.

    깊은 유대관계를 지니고 있을수록 전염성이 비례

    해 높아지는 모습을 보여요.

    그리고 낯선 이가 하품할 때는 전염성이 현저히 낮

    아진다는 이야기가 있답니다.

    이것은 과학적인 근거라기 보다는 공감대가 높은

    상대일수록 거울신경세포라고 하는 것이 활발해지 기 때문에 하품행위의 모방으로 이어진다고 보고

    있어요.

    참고로 이러한 이야기는 과학학술지인 피어 제이

    에서 밝혀진 이론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