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약·영양제

약 복용

탈노동을향하여
탈노동을향하여

약을 먹을 때에 외 식후 혹은 식전 30분에 먹는 것인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40대

약을 처방 받고서 약을 받으면

항상 약사들이 식후 30분 혹은 식전 30분에 먹으라고

안내를 받곤 하는데

왜 하필이면 10분도, 1시간도 아닌 30분 뒤에 전에

먹는 것이 좋은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길병철 약사입니다.

    식후 30분이라는 것은 보통 약 먹는 것을 잊지말라고, 식사와 약을 연결지은 가능성이 높습니다.

    30분이라는 것은 현재 의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다고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30분이라는 시간에는 크게 신경쓰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많이 사용되었기에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서울대병원에서는 식후 30분 처방은 이제 없으며, 식후 즉시 먹으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https://www.snuh.org/m/board/B003/view.do?bbs_no=3818&searchWord=)

  •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식후 30분은 별로 중요하지는 않아요. 사실 식사와 관련이 있는 약들은 식전이거나 식후즉시, 식후 2시간 정도이고요. 식후 30분은 그냥 위장장애 예방차원에서 식사를 하시고 복용해라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이런 약들은 식사와의 간격은 별로 중요하지 않고 약끼리 간격을 더 중요하게 해주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식후 30분은 이제는 바뀌어서 식후 바로 복용을 하셔도 괜찮습니다. 30분이라는 간격은 이 시간이 지나면 음식물이 어느 정도 위장에서 내려가기에 약의 흡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다고 판단되는 시간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다희 약사입니다.

    30분은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 식후에 복용하는 약은 식후에 바로 복용하셔도 괜찮습니다. 식전 복용 약도 식전 1시간 전에 복용하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하 약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식후 30분으로 처방받는 약들은 식사 직후에 바로 복용하셔도 큰 상관은 없으며, 식전 30분에 복용하도록 처방받으신 약이라면 약이 미리 작용하는데 시간이 필요해서 그럴 수 있습니다

    약에 따라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식후나 식전 등을 구분해서 복용하시는 것이 권장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약이 궁금하신지 이름을 알려주신다면 확인 후 좀 더 자세히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약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공복에 복용을 해야 효과가 우수한 약은 식전에 복용을 하는 것이며 속 쓰림이나 흡수율을 위하여 식후에 복용하는 약이 따로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상우 약사입니다.

    ‘식후 30분’ ‘식전 30분’은 정확히 30분을 고집하라는 뜻이 아니라 위 자극을 줄이고 음식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일반적 기준입니다. 위를 자극할 수 있는 약은 식사 직후에 조금 소화가 진행된 시점(대략 20–30분)으로 안내하고, 음식이 흡수를 방해하는 약은 위가 비어 있을 때를 확보하려고 식전 30분으로 안내합니다. 10–15분 정도 차이는 대개 문제되지 않으며, 중요한 것은 매일 같은 패턴을 유지해 복용을 규칙화하는 것입니다. 다만 레보티록신이나 아스피린 장용정이나 비스포스포네이트처럼 ‘공복’ 등 특별 지시가 있는 약은 그 지침을 우선해 복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호현 약사입니다.

    30분이라는 의미는 사실 크게 의미가 있지는 않지만 소화기관으로 혈류가 돌아 흡수에 최적화하기 좋은 시간이 30분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특정 약물이 아니라면 바로 복용하셔도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좋은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