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통관 위험도에 따라 검수비율을 자동 조정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일일 반입되는 통관 물량에 따라서 통관 검사의 집중도를 AI가 자동으로 조정하는 시스템이 도입된다면 얼마나 효과적일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AI가 통관 위험도를 기반으로 검수 비율을 자동 조정한다면 효율성은 상당히 높아질 수 있습니다. 고위험 화물은 검수 비중을 높이고 반복적이고 정상 거래 패턴이 확인된 저위험 화물은 신속 처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면 인력과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다만 AI 판단이 절대적인 건 아니고, 법적 책임은 세관에 있기 때문에 보조적 기능으로 활용하는 게 현실적입니다. 그래도 대량 물동량이 몰리는 시기에는 병목 현상을 크게 완화할 수 있는 효과는 분명히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네 결국에는 말씀하신 시스템이 도입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현재 AI의 경우 통관에 대하여 활용할 수 있는 곳이 무궁무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대하여 검사의 경우에도 신뢰도 있는 업체는 검사비율을 낮추고 신생이나 주의 업체의 경우 검사비율을 높임으로서 이에 대하여 통관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AI가 통관 과정에서 위험도를 기준으로 검수 비율을 자동 조정한다는 개념은 이미 일부 국가에서 시범적으로 도입된 적이 있습니다. 기본은 세관이 축적해온 빅데이터와 위험평가 기준을 AI에 학습시켜 고위험군 화물은 더 자주 검수하고 저위험군은 간소화하는 방식입니다. 이런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면 인력과 시간이 줄어드는 건 물론이고, 기업 입장에서는 통관 지연 가능성이 낮아져 물류비 부담도 완화될 수 있습니다. 다만 위험도를 잘못 산정하면 오히려 통관 리스크가 커질 수 있어 평가모델의 신뢰성이 핵심입니다. 우리나라에도 충분히 도입 가능성이 있지만 제 판단으로는 법적 근거와 시스템 안정성이 먼저 확보되어야 실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