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풋풋한홍학169
풋풋한홍학169

AI가 통관 위험도에 따라 검수비율을 자동 조정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일일 반입되는 통관 물량에 따라서 통관 검사의 집중도를 AI가 자동으로 조정하는 시스템이 도입된다면 얼마나 효과적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AI가 통관 위험도를 기반으로 검수 비율을 자동 조정한다면 효율성은 상당히 높아질 수 있습니다. 고위험 화물은 검수 비중을 높이고 반복적이고 정상 거래 패턴이 확인된 저위험 화물은 신속 처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면 인력과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다만 AI 판단이 절대적인 건 아니고, 법적 책임은 세관에 있기 때문에 보조적 기능으로 활용하는 게 현실적입니다. 그래도 대량 물동량이 몰리는 시기에는 병목 현상을 크게 완화할 수 있는 효과는 분명히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네 결국에는 말씀하신 시스템이 도입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현재 AI의 경우 통관에 대하여 활용할 수 있는 곳이 무궁무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대하여 검사의 경우에도 신뢰도 있는 업체는 검사비율을 낮추고 신생이나 주의 업체의 경우 검사비율을 높임으로서 이에 대하여 통관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AI가 통관 과정에서 위험도를 기준으로 검수 비율을 자동 조정한다는 개념은 이미 일부 국가에서 시범적으로 도입된 적이 있습니다. 기본은 세관이 축적해온 빅데이터와 위험평가 기준을 AI에 학습시켜 고위험군 화물은 더 자주 검수하고 저위험군은 간소화하는 방식입니다. 이런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면 인력과 시간이 줄어드는 건 물론이고, 기업 입장에서는 통관 지연 가능성이 낮아져 물류비 부담도 완화될 수 있습니다. 다만 위험도를 잘못 산정하면 오히려 통관 리스크가 커질 수 있어 평가모델의 신뢰성이 핵심입니다. 우리나라에도 충분히 도입 가능성이 있지만 제 판단으로는 법적 근거와 시스템 안정성이 먼저 확보되어야 실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