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08

주식에서 이런경우에 어떤 말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건가요?

주식 이야기를 할때 주로 많이 듣는 얘기인데요. 어떤말을 비유적으로 표현한건지 알려주세요.

1. 악재가 터졌을때가 진정한 구매 타이밍이 있다고 하는데 언제를 말하는건가요?

2. 주식의 매도타이밍을 알리는 징후들이 있다고 하는데 무슨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젊은매미372
    젊은매미37223.06.08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투자의 유명한 격언이 무릎에서 사서 어깨에 팔아라는 말이 있습니다.

    문의하신 두가지가 위에 해당하는데

    1.악재가 터졌을때는 주가가 하락을 하게되고 투자심리가 위축되어 추가하락을 하게 되는데 해당회사의 정상화나 재무지표상 문제가 없으면 바닥이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절한시점에 매수하라는 의미입니다. 예로 911테러나 코로나 같은 악재가 터졌을때 일정기간후에 반등하는 모습이 나왔었죠

    2.주식을 매도해야하는 시기는 작전주가 아닌이상 언론이나 여러매체에서 해당주식을 권할때가 일정경과를 본후 매도시기라고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 주식 가격이 하락한 후에 구매하면 주식의 가격이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은 주식 시장에서 하락세가 나타나면 패닉 세일이 일어나기 때문에 가격이 낮아지는데, 이 때 저렴하게 주식을 구매하여 나중에 가격이 상승하면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투자자들은 기업의 재무 상태, 주식의 기술적 분석, 시장의 트렌드, 소식 및 이벤트에 대한 영향 등을 고려하여 매도 타이밍을 결정합니다. 이러한 신호들은 주식 시장에서의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 악재로 인하여 주가가 기업의 가치보다

    상당폭 하락할 때 구매하라는 말입니다.

    2. 해당 기업의 주가가 너무나 지나치게 급등하는 등 하였을 때,

    매도타이밍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 악재가 터져서 주가가 하락했다면 우량주식일 경우에 최적의 매수 상황이라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우량한 주식은 단기 악재에 하락할지언정 나중에 오를 확률이 높으니까요.

    2. 주식의 매도타이밍을 알리는 것은 기술적 분석을 통하거나 가치평가를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의 경우 rsi가 상단을 찍게 되거나 가치평가의 경우 per가 계산했던 수치에 도달하는 등으로 알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두 가지 질문 모두 다 투자자들의 심리상태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질문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1) 주식시장 전체에 거시적으로 큰 악재가 발생한다면, 기업의 가치와 상관없이 위험자산에서 돈을 빼려고 하기 때문에 다같이 폭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이익에 대한 훼손이 없다면, 기업의 본질가치와는 상관없는 주가 하락이기 때문에 저가에 매수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종종 이런 패닉셀이 연출되기 때문에, 현금 보유자에겐 좋은 매수기회이기도 합니다.

    2) 주식의 매도타이밍은 정확하게 알기는 매우 힘듭니다. 그래서 매도는 예술이라는 격언도 있습니다. 다만 너도나도 주식을 하겠다고 달려들면, 너도나도 매수세로 붙기 때문에 주식시장이 과열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기업의 본질가치와는 상관없는 급등들이 많이 나오는데, 이럴때가 매도하기 좋은 타이밍입니다.

    하지만 이런 것들은 말로 설명하는 것은 쉬우나, 직접 투자를 하면서 판단하기에는 많은 경험이 필요하고, 전문가들 조차도 정확한 타이밍을 맞춘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악재가 터진 경우에는 주가의 폭락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시기에 저점을 잡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악재에 따른 과매도시 하락한 주가는 향후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주식의 매도 타이밍을 알리는 징후들로는 회사의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