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가지런한오소니23
가지런한오소니2323.08.16

중국에서 유독 부동산이 GDP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도 부동산이 GDP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고 하는데, 중국에 비하면 새 발의 피라고 하던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중국이 유독 부동산 시장을 키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방정부는 부동산 경기 활성화에 일조하며 재정수입의 상당 부분을 토지개발과 관련된 세수로 충당하고 있으며 중국의 부동산 시장은 수요와 공급에서 모두 투기적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며 이는 부동산 가격상승을 부추기고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동산이 중국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0% 안팎으로 추산된다. 수출(20%)보다 높다. 중국의 부동산산업은 개발 업체가 지방정부로부터 토지사용권을 사는 것이 시발점이다. 지방정부 재정의 40% 이상이 토지사용권 매각 수입이다. 고도성장기 시절 중국 지방정부 공무원의 핵심 평가지표는 지역 경제 성장이었다. 각 지방은 토지사용권 매각 수입을 인프라 건설에 투자해 성장률을 끌어올렸다. 지방정부는 산하 국유은행을 동원해 부동산 업체들에 자금을 지원했다. 부동산산업이 커질수록 부채가 커지는 구조가 됐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의 GDP에서 부동산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던 것은 시진핑 집권 당시에 시진핑 정부가 빠른 경제 성장을 위해서 부동산 개발에 대한 제한을 해제하고 부동산업을 정부가 적극적으로 키웠기 때문이에요. 가장 손쉽게 자본없이 경제성장을 일으키는 것이 부동산이기 때문에 부동산을 통해서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고 보시면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의 GDP에서 부동산 관련 업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25~30%에 달합니다. 이는 중국 경제의 주요 축 중 하나로, 부동산 산업이 성장하면 전체 경제도 성장하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개인 또한 자산의 약 70%가 부동산에 투자되어 있습니다. 이는 부동산 시장이 중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중국에서는 보통 주택 건설 공사가 이뤄지는 동안 선불로 지급되는 사전 판매 방식이 중국 신규 주택 판매의 70~8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부동산 개발 업체들은 한 번에 여러 개발 사업을 벌일 수 있으며, 경제를 단기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부동산 산업을 확대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원래 개발도상국과 같은 경우에는

    국가가 중심이 되어 부동산 경기를 부양함으로써

    인프라를 키우고 이에 따라서 부동산이 성장하는 것으로

    중국도 이와 마찬가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의 부동산 시장은 투자 수요가 큽니다. 중국의 경제 개방과 금융 시스템의 발전으로 인해 부동산 투자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수익성이 높은 선택지로 인식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개인과 기업들은 부동산에 대한 투자를 선호하게 되었고, 이는 부동산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