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정중한물총새210
정중한물총새210

알칼리성을 다른 말로 염기성이라 하는데...염기란것을 한마디로 어떠한 것입니까?

안녕하세요 전북 남원의 김종록입니다.

농업을 공부중에..

ph가 낮으면 산성 중간이면 중성 높으면 알칼리성으로 알게 되었습니ㅏㄷ.

그런데 이 알칼리성을 다른 말로 염기성이라고 하더라구요....

그리고..농협에서 배포하는 비료로....

석회, 고토, 규산이란게 있어서 땅을 중성화 시키는 역할을 하잖아요..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규산을 알칼리성으로 알고 있습니다....

산서도 높으면 알칼리성이란것은 알게 되었는데...다른 말로 염기성이라고 하는데...

염기성의 염두를 한마디로 어떻게 표현을 하나요?

염과 염기는 다르더라구요..염은 salt(소금)을 말하지만 염기는 무엇을 말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염기는 산과 반응해 중화시키는 성질을 가진 물질로, 수용액에서 수산화이온(OH-)을 내놓는 물질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염기는 산성과 반대되는 성질을 가진 물질이며 pH가 7보다 높을 때 이를 염기성 또는 알칼리성이라고 부릅니다.

  • 먼저 알칼리성은 염기성과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pH가 7보다 높은 용액을 알칼리성 또는 염기성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규산은 일반적으로 약산성을 띕니다.

    하지만 토양의 pH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규산이 염기성 물질과 반응하여 알칼리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석회와 규산이 반응하면 규산칼슘이라는 염이 생성되는데, 이는 토양의 pH를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 염기성의 '염'은 화학적으로 '수산화 이온(OH-)'을 내놓는 물질을 의미합니다. 수산화 이온은 염기성 용액의 pH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말씀하신 염(salt)은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합물입니다. 예를 들어, 염산(HCl)과 수산화나트륨(NaOH)이 반응하면 염화나트륨(NaCl, 소금)과 물이 생성됩니다.

    반면 염기(base)는 수산화 이온(OH-)을 내놓거나, 산과 반응하여 중화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입니다.

    마지막으로 농협에서 판매하는 석회, 고토, 규산은 땅을 중성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석회인 탄산칼슘은 대표적인 염기성 물질로, 산성화된 토양의 pH를 높여줍니다. 또한 고토인 산화마그네슘 또한 염기성 물질로, 석회와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규산은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토양 pH를 직접적으로 높이지 않지만, 석회 등과 반응하여 알칼리성 물질을 생성함으로써 pH를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