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4.03.10

독일이 통일할 수 있었던 요인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처럼 분단 국가였던 독일은 분단을 종식하고 결국 통일 국가가 되었는데요. 독일이 통일할 수 있었던 요인에는 무엇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독일의 재통일이 이루어진 요인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스탈린의 통일제안, 서독의 동방정책, 미디어의 영향, 통행의 자유, 경제적 격차 해소에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연합국은 독일의 전쟁 도발을 막기위해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이 4개국이 분할 통치하였습니다. 그러나 냉전이 격화되면서 1947년 소련이 지배하는 독일 민주공화국(동독)과 서부 지역도 독일 연방 공화국(서독)으로 분리 선언하였습니다.

    동서독의 재통일 배경에는 소련 고르바초프의 개혁, 개방 정책이 동유럽의 민주화 바람을 일으켰습니다. 그 과정에서 1989년 동독 주민들의 민주화 시위 확산과 자유 선거가 실시되어 공산 정권이 붕괴되었습니다.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고 서독의 기민한 외교 정책으로 1990년 10월 재통일 가능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독일 통일이 베를린 장벽 붕괴가 가져온 돌발적인 역사적 사건으로 여기는 시각이 적지 않은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첫째, 동서독 주민 간 교류 활성화였습니다. 예컨대 여행자유화 조치라든지 우편통신 교환 확대 등이었죠. 둘째, 상호 이해 증진 노력 강화였는데요. 대표적으로 TV 시청 허용이라든지 스포츠 단일팀 구성 등등 여러 가지 활동들을 들 수 있겠습니다. 셋째, 민간단체 지원이었는데요. NGO 단체 설립이라든지 각종 행사 개최 비용 보조 등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습니다. 넷째, 정치범 석방 문제 해결 이었는데요. 마지막 다섯째로는 인권 개선 요구 였습니다.


    이렇듯 총 다섯 가지 측면에서의 접근법 모두 공통점이라면 상대방 입장 존중 이라는 전제조건하에 진행되었다는 점이겠죠. 물론 처음부터 순조롭지만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소련 측으로부터 강력한 반대 의사 표명되었기 때문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적 설득 작업 펼친 결과 마침내 동의 이끌어낼 수 있었고 그로 인해 보다 탄력받아 속도감 있게 전개될 수 있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