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우람한스컹크183
우람한스컹크18324.01.06

세조의 제위찬탈은 왜 계유정난이라고 하나요?

왕위를 찬탈했다는 점에서는 동일한데도 불구하고 연산군을 몰아낸 중종반정이나 광해군을 몰아낸 인조반정과 달리 왜 세조의 찬탈은 반정이 아닌 난이라고 불리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06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조의 제위찬탈을 계유정난이라고 부르는지 그 이유가 궁금하군요.

    1453년(단종 1) 수양대군이 단종의 보좌 세력이자 원로대신인 황보인 · 김종서 등 수십 인을 살해, 제거하고 정권을 잡은 사건.

    1453년은 계유년이었다고 합니다.

    계유년에 정권을 잡기 위한 난이라 '계유정난'이라고 부르는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광해군과 연산군은 왕으로써 심각하게 문제가 있는 사람이었고

    그래서 지지자도 거의 없어서

    반정=정의로운 반란 으로 취급된 겁니다


    계유정난 과 무인정사(방원의난)의 경우

    누가봐도 권력노리고 멀쩡한 왕 공격한 것이기 때문에

    사육신처럼 죽음을 각오하고"너가 왕이냐 개 ㅅㄲ지" 라고 하는 선비들이 많았고

    그래서 난으로 기록된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