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엔리코오노프리
엔리코오노프리

etf와 etn투자의 차이점을 알기쉽게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아름다운 낙곱새입니다.

투자공부를 하면서 etf만 주로 봐왔거든요 근데 etn이라는 상품도 있더라구요 둘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ETF와 ETN 차이점을 말씀드리겠습니다.

    ETF와 ETN은 공통적으로 여러가지 회사 또는 상품 평균 가치를 합산해서 다양한 구성의 상품에 간접적인 투자가 가능하다는 점과 주식처럼 거래가 된다는 점 입니다.

    차이점으로는 우선 발행 주체가 다릅니다.

    ETF는 자산운용사에서 발행을 하고 ETN은 증권회사입니다.

    그리고 ETF의 경우 신탁재산으로 보관하여야 하므로 신용위험이 없어 자산운용사가 파산하더라도 내 돈을 돌려받을 수 있지만 ETN은 신용위험이 있는 상품으로 발행 회사가 파산을 할 경우 내 돈을 돌려받지 못합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ETF'는 특정 지수를 따라가도록 설계된 펀드입니다.

    예를 들어, 마트에서 여러 종류의 과일을 한 바구니에 담아 판매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ETF는 다양한 종목의 주식을 한꺼번에 담아 투자하는 효과를 줍니다.

    'ETN'은 증권사가 특정 지수나 상품을 기초 자산으로 삼아 발행하는 파생결합증권입니다.

    예를 들어, 과자 공장에서 원하는 맛과 모양의 과자를 주문 제작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안정적인 투자는 ETF를 선택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며,

    높은 수익과 위험을 감수할 수 있다면 ETN을 고려해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ETF는 자산운용사에서 발행, ETN은 증권사에서 발행합니다.

    ETN은 파산시 돈을 돌려받지 못할 수도 있고 더불어서

    ETF는 해당 ETF가 없어진다고 하더라도 청산하여 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ETF는 최소 10종목 이상, ETN은 5종목 이상이면 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 발행주체

    • ETF: 자산운용사가 발행

    • ETN: 증권사가 발행

    1. 만기 여부

    • ETF: 만기가 없음

    • ETN: 1년~20년으로 만기가 있음

    1. 신용위험

    • ETF: 없음

    • ETN: 있음

    1. 기초지수

    • ETF: 10종목 이상

    • ETN: 5종목 이상(해외는 3종목 이상)

    1. LP 평가기준

    • ETF: 약함

    • ETN: 강함

    1. 손실제한

    • ETF: 불가

    • ETN: 구조에 따라 가능

    1. 법적성격

    • ETF: 집합투자증권

    • ETN: 파생결합증권

  • ETF(상장지수펀드)와 ETN(상장지수증권)은 기초 지수 수익률을 추적하지만 차이점이 있습니다.

    발행 주체는 ETF가 자산운용사, ETN은 증권사입니다.

    운용 방식에서 ETF는 실제 자산을 보유하며 운용 성과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고 ETN은 증권사 신용으로 약정된 수익률을 제공합니다.

    ETF는 만기가 없고 지속 운용되며 ETN은 만기가 있습니다.

    ETF는 추적 오차가 적고, ETN은 증권사 신용에 따라 신용 위험이 있습니다.

    ETF는 주식처럼 거래되며, ETN은 파생상품으로 거래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etf는 투자자들이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펀드로, 주식, 채권, 원자재 등 다양한 자산을 기초로 만들어집니다. etf는 실제로 기초 자산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그 자산의 성과에 따라 가치가 변동합니다. 또한,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어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매매할 수 있으며, 투자가 분산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위험이 낮습니다.

    반면 etn은 발행 기관이 기초 자산의 성과에 따라 수익을 보장하는 채권 성격의 상품입니다. 실제로 기초 자산을 보유하지 않고, 발행 기관의 신용도에 따라 위험이 다르게 평가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tn의 가장 큰 리스크는 발행 기관이 부도나 파산할 경우 투자자가 손실을 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etf는 실제 자산에 투자하는 반면, etn은 발행사의 신용 위험이 더해져 투자자에게 조금 더 높은 리스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ETF와 ETN의 가장 큰 차이는 발행 주체입니다.

    ETF는 발행주체가 자산운용사임에 반해, ETN은 증권사가 무담보 신용으로 발행하는 상품입니다. 뿐만 아니라, ETF는 만기가 없는 반면에 ETN은 만기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발행주체가 파산 시에 ETF는 수탁회사에 자산이 보관되는 반면에 ETN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ETN은 증권회사가 무담보 신용으로 발행하는 데 반해, ETF는 자산운용사가 발행하여 두 상품은 발행주체가 서로 다릅니다

    ETN은 발행회사의 신용으로 발행하는 상품으로 무보증·무담보 사채와 동일한 발행자 신용위험이 있는 상품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ETF는 특정 지수나 자산을 추종하는 펀드로, 실제 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해당 지수에 포함된 주식들을 직접 보유하고 있어, 자산의 가치가 ETF의 가격에 직접적으로 반영됩니다. 따라서 ETF는 자산의 가치가 하락하더라도 펀드 자체는 계속 존재하며, 투자자에게 자산의 소유권을 제공합니다.

    반면, ETN은 은행이나 금융기관이 발행하는 채권으로, 특정 지수의 성과를 추종하지만 실제 자산을 보유하지 않습니다. ETN의 가치는 발행자의 신용에 의존하기 때문에, 발행자가 파산할 경우 ETN의 가치가 0이 될 위험이 있습니다. 즉, ETN은 발행자의 신용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ETF와 ETN은 둘 다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투자 상품이지만 차이점이 있습니다. ETF는 주식이나 채권 같은 실제 자산에 투자하는 펀드이고 이 자산들의 가격에 따라 수익이 결정됩니다. 반면에 ETN은 금융기관이 발행한 채권으로 특정 지수의 수익률을 따르지만 실제 자산을 보유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ETN은 발행한 금융기관의 신용도에 따라 위험이 있을 수 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ETF는 상장, 운용주체가 자산운용사라는 점, ETN은 상장, 운용주체가 증권사라는 점이 대표적인 차이점입니다. 또한, ETF는 상폐가 되어도 투자금이 아예 다 날라가지 않지만, ETN은 상폐될 경우 투자금을 다 잃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