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사막의 밝은 별빛  나그네65
사막의 밝은 별빛 나그네65

심장표지자 검사에서 심장표지자가 어떤걸 말하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45

건강검진 선택항목중에 심장표지자 검사라는 항목을 이번에 처음접해서 궁금해서 여쭈어 봅니다. 건강검진에서 심장표지자검사라는 건 어떤검사인지 자세한 설명 요청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심장표지자(?) 가 아마도 심근효소를 말하는 거 같습니다. CK-MB, Troponin 검사는 -> 심근 경색등 심장근육이 손상받을때 올라가는 수치.

    NT-pro BNP -> 심장기능이 감소하는 만성심부전 등에서 올라가는 수치.. 이 정도 일것 같네요.

    특별한 기저질환 없고 호흡곤란, 흉통이 없는 사람에서는 검사가 굳이 필요할것 같지는 않습니다.

  • 심장표지자 검사는 심장 손상이나 심장 질환을 진단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해 혈액 내 특정 단백질과 효소의 수치를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이러한 표지자는 심장 근육의 손상 시 혈액 내로 방출되는 물질들로, 급성 심근경색(심장마비)이나 기타 심장 질환을 진단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주요 심장표지자로는 크레아틴 키나제 MB(CK-MB), 트로포닌 I(Troponin I), 트로포닌 T(Troponin T), 마이오글로빈(Myoglobin), 나트륨이뇨펩티드(BNP, NT-proBNP) 등이 있습니다.

    크레아틴 키나제 MB(CK-MB): 주로 심장 근육에서 발견되는 효소로, 심근 손상이 발생하면 수치가 증가합니다. CK-MB는 심근경색 후 몇 시간 내에 증가하고, 약 24시간 내에 최고치에 도달한 후 서서히 감소합니다.

    트로포닌(Troponin I, Troponin T): 심장 근육 세포에 있는 단백질로, 심근 손상이 있을 때 혈액 내 농도가 높아집니다. 트로포닌 수치는 심근경색 발생 후 3-4시간 내에 상승하기 시작하며, 최대 14일 동안 높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심근경색의 진단과 예후 평가에 중요합니다.

    나트륨이뇨펩티드(BNP, NT-proBNP): 심부전 진단과 관리에 중요한 표지자로, 심장 벽의 스트레스나 압력이 증가할 때 분비됩니다. BNP와 NT-proBNP 수치는 심부전의 심각도를 평가하고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