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알은 어떻게 발사되는 원리인가요?
실탄 총은 총알을 끼워서 끝부분만 발사되고 나머지부분은 남아있던데
끝부분 총알만 어떻게 강하게 발사되어 타격을 주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욱 전문가입니다.
실탄 총에서 총알은 발사되 때, 화약이 점화되어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총알이 총신을 따라 빠르게 밀려 나갑니다. 총알의 끝부분만 발사되는 이유는 발사할 때 화약 연료의 폴발로 총알 뒷부분이 밀려나면서 강력한 추진력을 생성하고 나머지 부분은 발사 뒤에 배출됩니다. 총알의 끝부분은 금속으로 되어 있어 표적에 타격을 주도록 설계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신란희 전문가입니다.
실탄의 끝 부분인 총알이 강하게 발사되는 원리는 탄환 내의 화약이 점화되어 폭발적인 가스를 발생시킵니다.
이 가스가 총을 총신을 따라 빠르게 밀어내기 때문입니다. 총알의 나머지 부분, 즉 탄피는 발사 후 총구에서 빠져나오고, 그 자체는 발사되는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이 과정에서 총알 끝 부분만 빠르게 타격을 줄 수 있도록 고속으로 발사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총알이 발사되는 원리는 탄약 내부의 화약이 폭발하면서 발생하는 고온 고압의 가스 덕분입니다. 방아쇠를 당기면 발사 핀이 탄약을 쳐서 뇌관을 점화시키고 이로 인해 화약이 폭발합니다. 폭발로 생성된 가스는 탄약을 강하게 밀어내어 총열을 따라 빠르게 전진하며 총구를 벗어나 공중으로 발사됩니다. 총열의 홈(강선)은 총알에 회전력을 주어 안정적으로 날아가도록 돕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재화 박사입니다.
총알은 화약의 폭발력에 의해서 발사됩니다. 총기에서 방아쇠를 당기게 되면 발사 핀이 즉 공이라고 하는 것이 총알 뒤에 충격을 가하고 화약을 점화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고압 가스가 총알을 총열을 빠르게 밀어내면서 발사가 되는 것이죠. 총알의 나머지 부분은 화약이 들어있고, 나머지는 총알이 총열을 지나면서 밀려나게 되는 구조 때문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