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반듯한매미13
반듯한매미1322.12.28

저녁에 노을이 생기는이유가 궁금해요

진짜 노을을 보면 정말 아름다운데요.

어떤 날은 없고 어떤 날은 정말 울긋불긋 아름답게 생기는데. 이렇게 노을이 저녁에 생기는 이유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9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저녁에 노을이 보이는 이유는 빛의 경로가 낮보다 길어져서 하늘빛인 파란색이 산란되어 먼저 사라지고, 파장이 좀더 긴 붉은계열의 빛이 대기중에 산란되어 보이기 때문입니다.

    아침과 저녁에는 태양의 고도가 낮아서 햇빛이 투과되어 오는 빛의 경로가 낮보다 훨씬 길어지게 됩니다. 낮에는 파장이 짧은 파란색이 대기중에서 산란을 일으켜서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지만, 저녁에는 빛의 경로가 길어지면 파장이 짧아서 산란이 많이되는 파란색은 먼 곳에서 산란되어 사라지고, 다음의 긴 파장 영역의 붉은색, 주황색, 노랑색의 빛들이 대기를 통과하면서 산란을 일으켜 울긋불긋 아름다운 노을색으로 우리에게 보이게 됩니다.


  • 노을은 아침과 저녁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빛의 파장과 산란때문에 나타납니다.

    가시광선의 스팩트럼에서 파장이 짧은 청색계열(파남보)은 지상으로 내려오지 못하고 대기중에서 모두 산란되며, 파장이 긴 적색계열(빨주노초)은 지상까지 산란되지 않고 내려 옵니다.

    아침 저녁은 햇빛이 우리눈에 일직선상이 아닌 사선으로 비추게 됩니다.

    하여 파장이 짧은 파란색계열의 색은 우리눈에 보이지 않고 파장이 긴 적색계열만 우리눈에 보이게되면,

    파란산 계열의 빛은 대기권에서 모두 산란되고 둥근 지구의 지표및 대기에 가려 아예 보이지 않게 됩니다.

    이런이유로 아침저녁으로 적색계열의 아름다운 노을이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저녁이 되면 태양빛은 더 긴 거리를 거쳐야 합니다.

    그 과정에서 다른 파장대의 빛은 모두 산란되고 파장이 긴 붉은빛이 남게 됩니다.

    그래서 저녁 하늘에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노을빛’이 나타납니다.

    노을빛이 적당히 주황빛인 날이 있는가 하면, 온통 불타는 듯한 붉은 빛이 하늘을 물들이는 날도 있지요?

    이러한 노을의 색깔은 대기 중에 떠다니는 고체·액체상의 물질을 총칭하는 ‘에어로졸’의 양에 따라 결정됩니다.

    공기 외의 다른 입자들이 떠다니면 빛을 더 많이 산란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에어로졸이 평소보다 많으면 더 많이 산란되니, 붉은 빛이 많이 남게 되어 더욱 붉은 노을이 되는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노을은 태양광선이 대기층을 통과할 때 선택 흡수, 산란, 굴절해 생기는 현상이다. 햇빛의 가시광선이 대기 중 수증기나 미세한 먼지 등에 부딪혀 퍼지면서(산란) 여러 가지 빛깔을 나타내는 것이다


  • 저녁 무렵이 되면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기 시작합니다.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면 태양빛의 기울기가 작아지게 됩니다.

    기울기가 작아지니, 통과해야하는 대기층이 기울어지는데,

    파장이 짧은 파란~보라 빛은 대기층을 통과하지 못하고,

    파장이 긴 빨~주황색만 대기층을 통과하기 때문에 노을 빛이 붉게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