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바닥 유구골 골절 증상에 대해서 질문
4년전에 교통사고를 당해서 넘어지면서 바닥에 손을 크게 짚어 손목 수술을 했었습니다.
손바닥 유구골 쪽도 약간 살이 부어오르고 눌렀을때 통증과 4,5번째 저림이 있어서 의사한테 말했는 이 부분은 병원에서 캐치하지 못하여 해결못했습니다.
현재까지도 유구골을 누르면 계속 아파고 4,5번째 손가락 저림이 있는 상태입니다.
결과적으로 mri 다시 찍어봐야겠지만 제 증상을 봤을때 유구골 고리 골절로 보이는데요.
질문)
손목 수술을 했었기 떄문에 손목 mri를 많이 찍었었는데 손목mri에는 유구골 고리 골절이 보이지 않나요?
유구골 골절은 엑스레이로도 안보이고 ct로도 안 보일수도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저는 손바닥ct도 찍어봤는데 발견하지 못했는데, 그런 경우라면 심각한 수준인건가요?
직업상 컴퓨터를 많이 해야 돼서 손을 자주 쓸수 밖에 없는 상황인데 유구골 고리 골절 수술을 하게 되면 언제 일상생활에 회복이 가능한가요? 키보드를 쳐야 돼서요
거의 4년이 지난 이제야 유구골 문제라는 걸 발견한 상태입니다. 현재 유구골 통증과 저림이 있는데 더 악화되는게 있어서 하루빨리 수술을 해야 되는건지 아니면 그건 아닌건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유구골 골절은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손목 mri 에서 유구골 고리 골절이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엑스레이나 ct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골절이 미세하거나 위치가 애매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지속되고 악화된다면 수술이 필요할 수 있으며 수술후 회복 기간은 개인차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6주에서 3개월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MRI촬영은 현존하는 가장 정확한 영상검사 방법으로 알고있습니다.
작은 뼈의 골절의 경우 영상검사상에서 보이지 않는 경우가 존재하거나, 어느정도 시간이 지난 이후에 발견되는 경우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수술 회복기간은 전문의와 상의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개인차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전문의의 판단에 따라서 보존적치료를 우선적으로 실시해 볼 수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시간이 많이 경과하여 골절이 유합되어있다면 보존적 치료먼저 실시하지 않을까 합니다. 이부분에 대해서는 전문의와 진료이후에 상담을 해보시는 것이 정확하다고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
4년전에 있었던것으로보아 설령 골절이 되었더라면 알수있는부분이고 미세하게 골절되거나 했던부분이라면 뼈가 붙어도 진작에 붙어있을 상황입니다. 다만 손목을 많이 쓰는 직업이면 골절보다는 손목쪽의 근육이나 힘줄의 문제일수있습니다. 뿐만아니라 손가락의 4번째5번째 저림은 목에서 문제가 생기는 일도 많으므로 너무 손에만 집중하지마시고 전반적으로 보셔야할것같습니다. 목의 정렬이 괜찮은지, 목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지는 않은지 등등을 고려해보시는것을 권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