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민상담

회사 생활

사일러스
사일러스

요즘 직장 퇴직 연령은 어느 정도인가요?

오랜 만에 대학 선배들을 만나면,

30대 후반부터 직장 퇴사하고 개인사업, 식당 등을 창업했다고 하는데,

잘되기를 바라면서도,

요즘에는 직장 생활은 몇살까지 할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상냥한참매162
    상냥한참매162

    케이스마다 다를 것 같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퇴직 연령을 다 채워서 퇴직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조기 퇴직하고 제2의 인생을 사는 것 같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과거에 비해서 더 퇴직 연령이 낮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일반 직장의 경우 대부분 회사 규정이 정년을 60까지는 보장하고 있지만 실제로 그 때 까지 일하는 경우가 요즘은 없어지는 것 같아요... 주변에 보면 50대에는 거의 다 퇴직하시는 것 같습니다.

  • 요즘 직장 퇴직 정년은 보통 60세까지 가는 경우가 많아요.

    그러나 그 때까지 버티기는 사실상 자의반 타의반으로 힘들어

    50대 초반에 명퇴를 하거나 그만두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다만 공무원의 경우는 60세까지는 근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건강과 직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그리고 일부 현장직의 경우는 65세, 70세까지 일하는 분들도 계시고요.

    요즘은 은퇴 후에도 계속 일하는 분들이 많아서 정해진 나이는 없어요.

    건강하고 원하시면 더 오래 일하실 수 있어요.

  • 사회가 급변하고있다보니 퇴직연령이 낮아지긴합니다만 질문자닝께서 걱정하시는만큼 30대는 별로없습니다 다만 30대때는 퇴직후 새로운일을 하기에 오히려 적절한 시기라고 생각될수도 있습니다 50대때 퇴직해서 새로운일을하기에는 리스크가 좀있습니다

  • 요즘은 워낙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라고 해서 퇴직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보통은 50대 중후반에 퇴직을 많이들 하시더라고요 정년이 보장되지 않는 그런 직업을 가진 사람들 기준에서 말이죠

  • 최근 대한민국 직장인의 평균 퇴직 연령은 약 49~51세로 법정 정년인 60세보다 낮으며 퇴직 사유의 절반 이상이 권고사직이나 정리해고 등 비자발적 퇴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 요즘 직장인 평균 퇴직 연령은 공기업, 대기업 기준 50대 초반, 중소기업은 40대 후반~50대 전후로 더 빠른 편입니다. 하지만 조기퇴사(30대 후반~40대 초반)도 많아졌습니다. 업무 강도, 조직문화, 워라밸 등을 이유로 퇴사 후 창업, 이직, 전직을 선택하는 경우가 늘었습니다. 정년은 법적으로 60세이지만, 실제론 50세 전에 경력단절 겪는 사례도 많아 미리 제2 준비를 하는 추세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