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옥시좀은 퍼옥시좀으로부터 유래한 것이라고 알고 있는데 어떠한 기능적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식물은 퍼옥시좀 이외에 글리옥시좀이라고 하는 세포 소기관을 갖고 있고 이와 같은 글리옥시좀은 퍼옥시좀으로부터 유래한 것이라고 알고 있는데 어떠한 기능적 차이가 있나요?
퍼옥시좀은 모든 진핵생물에 존재하는데, 주로 지방산 분해와 해독 작용을 통해 생성된 과산화수소를 분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 글리옥시좀은 주로 식물의 씨앗이나 일부 균류와 같이 지방을 저장하는 세포에만 존재하는데, 이 소기관의 기능은 글리옥실산 회로를 통해 지방을 탄수화물으로 전환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기능적 차이로 인해, 씨앗이 발아할 때 글리옥시좀은 저장된 지방을 분해하여 새싹이 자라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죠.
글리옥시좀의 가장 핵심적인 기능적 차이는 지방을 탄수화물로 전환하는 글리옥실산 회로를 수행한다는 점입니다. 퍼옥시좀과 글리옥시좀은 모두 지방산을 분해하고 과산화수소를 제거하는 공통적인 기능을 가지지만, 글리옥시좀은 글리옥실산 회로에 필요한 핵심 효소들을 추가로 가지고 있습니다. 이 덕분에 식물이 발아할 때 저장된 지방을 분해하여 얻은 아세틸 조효소A를 설탕과 같은 탄수화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이는 광합성을 시작하기 전인 어린 싹의 성장 에너지원으로 사용됩니다. 반면, 일반적인 퍼옥시좀은 이 전환 과정 없이 주로 광호흡이나 세포의 해독 작용에 관여합니다.
네, 말씀하신 대로 글리옥시좀은 식물의 특정 발달 단계에서 나타나는 퍼옥시좀의 특수화된 형태라고 볼 수 있는데요 우선 둘 다 인지질 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단일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내부에 카탈라아제와 여러 산화효소를 포함하고 있고, 과산화수소(H₂O₂)를 생성하고 분해하는 산화환원 대사에 관여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닙니다. 차이점으로는 우선 퍼옥시좀은 긴 사슬 지방산의 β-산화에 관여하며 광호흡 과정에서 글리콜산을 글리옥실산으로 전환한다는 점, 독성 물질 해독을 할 수 있으며 동물과 식물 모두에 존재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글리옥시좀은 퍼옥시좀의 기능을 기반으로 하면서, 글리옥실산 회로를 수행한다는 점이 특징인데요 지방산으로부터 아세틸-CoA를 거쳐 숙신산을 형성하는 경로를 통해 저장 지질을 당으로 전환하는 대사 경로를 담당하고 있으며 이 숙신산은 미토콘드리아와 세포질을 거쳐 포도당 신생합성으로 이어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퍼옥시좀은 주로 과산화소 분해 지방산 베타 산화 등 해독 대사 기능을 담당한답니다.
글리옥시좀은 특히 발아 종자에서 지방을 당으로 바꾸는 글리옥실산 회로를 수행해 에너지원 전환에 특화되어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