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자산관리

아프로아프로
아프로아프로

자산 대비 어느 정도 비상금을 갖고 있는 것이 좋을까요?

자산 대비해서 어느 정도의 비상금을 현금으로

갖고 있는 것이 안정적인지 궁금합니다.

혹시나 이런 저런 일이 생겼을 때에 급하게 사용하는 목적으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답은 없을 것이나 개인적으로 보았을 때,

    비상금과 같은 경우에는 나의 월생활비의 3개월에서

    6개월 정도의 금액을 가지고 있는다면 어느정도

    대비가 되어있다고 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자산 대비 어느 정도 비상금을 갖고 있는 것이 좋은 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비상금은 본인이 한달에 사용하는 비용의 세 달치 정도를

    현금으로 갖고 있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한달에 300만원을 사용하게 되면

    900만원 정도 현금을 갖고 있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비상금으로 준비해야 하는 금액은 일반적으로 3~6개월 치 생활비를 기준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매달 생활비가 300만 원이라면 900만 원에서 1800만 원 정도의 비상금을 현금으로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가족을 부양하고 있거나 직업이 불안정한 경우, 12개월 치 생활비를 비상금으로 준비하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이 비상금은 언제든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저위험의 금융상품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총 자산의 10% 정도면 적당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나이에 따라 다르겠지만, 나이가 어리시다면 비중을 더줄이셔도 될꺼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재정 전문가들은 최소 3개월에서 최대 6개월의 생활비를 비상금으로 보유할 것을 권장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은 1년치 월급이 안전하다고 하죠 6~12개월치 월급이요, 그래서 일을 못하게 되거나 할때도 대체할수가 있고요 목돈이 들어가는 것도 보통은 천만원대입니다

  •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재무 전문가들은 최소한 3개월에서 6개월 분의 생활비를 비상금으로 준비할 것을 권장한다고 합니다.

    이는 갑작스런 실직, 의료비, 기타 예기치 못한 지출에 대비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자산 대비는 5~10% 를 비상금으로 보유하는 것이 일반적인 권장 범위라고 하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산은 크게 집, 건물 등 부동산과 차량, 현금, 예금, 주식 등 동산으로 나뉘는데요. 이 중 현금인 비상금은 총 자산의 5~10%를 가지고 계시는 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사람마다 다르고 정확히 얼마다 말할 순 없겠지만

    통상적으로 내가 어디 급하게 써야한다면 보통 아플때입니다. 이를 치료한다던지 갑자기 큰 수술은 아니여도 해야한다던지 다쳐서 입원을 해야한다던지 인데 그럴 때 그냥 몇 백은 깨지기 일 수여서 보험이 있다하더라도

    내 자산의 %보다는 금액으로 본다면 최소 500정도는 바로 바로 가용할 수 있어야 급하게 처리할 것은 처리할 수 있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일반적으로 본다면 월소득의 3개월치 정도, 조금 더 여유있게 본다면 6개월치 정도를 비상금으로 보유하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비상금은 개인별 생각의 차이가 크지 않을까요 요즘은 현금을 많이 가지고 있어도 파킹통장을 이용하면 3프로 언저리의 이자를 주기때문에 예금 적금이랑 이자부분에서는 크게 차이가 없긴한거 같아요 그러니 개인별 생각에 따라 비상금 현금보유는 틀릴거 같습니다 저는 10-20프로정도면 충분하지 않을까 싶기는 합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통상적으로 비상금은 자신 수입의 3~6배 정도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하여, 실직 등의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등을 대비하기 위하여 충부한 비상금을 확보하는 것이 좋으며 자신 소득의 3~6배 정도를 현금으로 확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