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비염자가 고양이나 강아지와 함께 생활해도 돼나요?

2021. 03. 29. 05:45

좁은원룸에사는 만성 비염자가 요즘 고양이를 입양해서 기르고 있는데 걱정이되요,

고양이와 함께 살아도 괜찮은지 궁금하고요 ,함께 지낼 수 있는 요령과 주의할점등

알려주셨으면 고맙겠습니다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총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비염에 대해 문의주셨습니다.
비염의 종류는 알레르기성과 비알레르기성으로 나뉩니다.
보통 알레르기 비염이 많기 때문에 알레르기 검사를 한 이후, 치료 방법으로 알레르기 유발원을 회피하는 방법과 더불어 비강 스프레이제제와 먹는 비염약을 사용하게됩니다. 약국에서 판매하는 비충혈제거 스프레이제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오히려 비염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면역치료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고양이가 없다면 상관 없겠으나, 고양이 알러지가 있다면 기르는 것을 한번 더 고려해보시길 바랍니다.


비알레르기성 비염의 경우 비염의 종류에 따라 비강스프레이제와 같은 약을 사용하거나 하비갑개 수술(효과는 6개월-1년 지속) 등을 시행해볼 수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내원하셔서 코안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여 진료를 보신 후 치료 방법에 대해 상담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1. 03. 29. 13:36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홍덕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고양이 털에 알레르기가 있는지가 중요하겠네요.

    만약 알레르기가 있다면, 당연히 같이 지내지 않는 걸 추천드립니다.

    굳이 키우시겠다면, 안타깝게도 항히스타민제를 달고 사시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면역 치료를 해볼 수도 있겠지만, 효과를 장담하기 어렵습니다.

    2021. 03. 29. 13:27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