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이 겨울에는 생기지 않는이유는 무엇인가요?
여름에는 항상 어김없이 반갑지않는 손님 태풍이 찾아오는데 겨울에는 태풍이 한번도 오지않는것 같습니다 태풍이 여름에만 생기는 이유는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태풍은 바다에서 기압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데요 육지에서 보통 소멸합니다 이러한 이유로는 여름에는 강한 태양으로 인하여 많은 바닷물이 증발하게 되어 이로 인하여 기압의 변화가 생깁니다 따라서 태풍이 있으면 비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우리 한반도의 아래에는 일본 열도 전체를 아우르고 있는 북태평양 기단이라고 하는 거대한 하늘 공간이 있습니다.
그 북태평양 기단은 초여름이 되면 서서히 우리나라 제주도 쪽으로 올라옵니다. 그리고 가을을 지나 초겨울이 되면 다시
일본 북해도 쪽으로 돌아가 버리죠. 그런데 이 북태평양 기단은 여름이 되면 기압이 고기압으로 바뀌기 때문에 우리는
여름에 이 기단을 북태평양 고기압이라고 부릅니다. 초여름에서 가을 동안 이 북태평양 고기압의 왼쪽 옆구리에서
시작해서 왼쪽 어깨를 타면서 위쪽으로 기어 올라가는 바람이 하나 있는데 그것이 바로 태풍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태풍은 대기의 온도가 높아 바닷물이 일정양 이상 증발 할 수 있는 시기에 발생을 합니다. 겨울철에는 적도부근에 태풍이 발생할 만한 에너지(온도)가 유지 되질 않아 태풍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태풍이 발생하기 위해서 바닷물의 온도가 26가 되도록 주변 대기의 온도가 30도 이상이어야 하는데 겨울철에 극지방 대기의 영향으로 대기가 30도 이상으로 유지 되지 않기 때문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