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보성불주먹
보성불주먹23.03.14

달을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 모양이 달라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달을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 모양이 달라지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어떤 각도에서 어떤 모양으로 보이는지 알려주세요. 아니면 어느쪽에서 봐도 달의 모양은 같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달을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 모양이 달라지는 이유는 달이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지구와 달, 태양의 위치가 변하기 때문입니다.

    우선, 지구와 달의 상대적 위치가 변하면서 보이는 달의 모양은 "달상"이라고 부릅니다. 달상은 총 8가지 종류가 있으며,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모양으로 보입니다. 다만, 이 달상은 지구와 달, 태양의 위치에 따라 보이는 모습이 달라지기 때문에, 같은 시간에 다른 지역에서 바라본다 해도 달의 모양이 다를 수 있습니다.

    가장 잘 알려진 달상은 "보름달"과 "초승달"입니다. 보름달은 달이 지구의 반대편에 있을 때 지구로부터 바라보이는 모습으로, 완전한 동그란 모양으로 보입니다. 반면 초승달은 달이 지구와 태양의 사이에 있을 때 바라보이는 모습으로, 보름달과 반대로 얇고 긴 호모 모양으로 보입니다. 그 외에도, 상반된 양상을 가지는 삼일월, 그리고 반달과 반대편으로 채워진 상반월, 상반신월 등 다양한 달상이 있습니다.

    따라서, 달을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서 모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같은 시간에도 위치나 시점에 따라서 보이는 모습이 다를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4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이 어떤 모양으로 보이는지는 관측하는 관측자의 위치와 시간에 따라 다르게 보입니다. 이는 달의 궤도상 위치, 지구와 달의 상대적인 위치, 그리고 지구에서 바라보는 달의 각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지구에서 바라보는 달의 모양은 주기적으로 변화하며, 이를 월식과 망원경(Phases of the Moon)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월식은 달이 지구 주변을 공전하면서 지구와 태양 사이의 위치에 따라 결정됩니다.

    달의 모양은 지구와 달, 태양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관측 위치에서 달을 바라보면 차이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만월에 지구와 달이 가장 가까이 있을 때는 달이 가장 크게 보이지만, 이와는 반대로 새월에는 달이 지구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작게 보입니다.

    또한,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달의 모양이 조금씩 다르게 보입니다. 이는 지구와 달의 상대적인 위치와 달의 궤도가 지구의 중심에서 약간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달의 모양이 다른 관측자에게 보이는 모습은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모양이 바뀌는 것은 달이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동안 그림자에 의해 조금씩 가려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달의 위상 변화(Phases of the Moon)라고 합니다.

    지구에서 바라볼 때 달은 언제나 같은 모양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달의 모양은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동안 달의 각도에 따라 조금씩 변화합니다. 즉, 달의 위치에 따라 다른 모양으로 보이게 됩니다.

    가장 많이 알려진 달의 모양 변화는 만월(만달)입니다. 이 때는 달이 지구와 태양의 중간에 위치하여 지구에서는 달의 전면이 태양 쪽으로 향해 밝게 비춰지고, 반면 달의 뒷면은 어둡게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만월을 비롯해 상형달, 상형월, 후상달, 후상월 등 다양한 위상 변화가 나타납니다.

    하지만, 지구와 달의 상대적 위치가 바뀌면서 달의 모양이 바뀌는 것은 만월을 제외하면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입니다. 일반적으로 지구에서 바라볼 때, 달이 차지하는 면적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달의 위상 변화는 지구와 달, 태양의 상대적 위치와 조명 방향에 따라 결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디에서 바라보나 달의 모양은 같습니다.

    만일 바라보는 곳에서마다 달이 다른 모습을 보이려면 지구와 달의 거리는 매우 가까워야 합니다.

    하지만 달과 지구 사이의 평균 거리는 384,400km로 지름의 길이가 12,742km인 지구가 30개가 들어갈 수 있는 거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을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 모양이 달라지는 이유는 달이 지구의 주변을 공전하면서 자신의 태양으로부터 받는 조명을 다르게 받아들이기 때문입니다.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있을 때는 달의 앞면이 태양을 향하게 되어 밤하늘에서는 보이지 않게 됩니다. 이것을 '신월'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 태양의 뒤쪽에 있을 때는 달의 뒷면이 태양을 향하게 되어 밤하늘에서도 보이지 않습니다. 이것을 '만월'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있지 않고, 지구와 태양이 직선상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달이 일부만 태양으로부터 빛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달의 모양이 바뀌게 됩니다. 이것을 '상현월'이라고 합니다. 상현월의 경우, 달의 일부분만 태양에서 비추는 빛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보통 초승달부터 보름달까지의 모양이 바뀌게 됩니다.

    또한, 달의 지표와 지형이나 달의 자전에 의한 효과로 인해 달의 모양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달의 모양은 항상 변화하며, 지구에서 바라보는 각도와 위치에 따라 달의 모양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동주기 자전을 합니다. 이는 달의 자전과 공전의 주기가 같다는 것인데, 그로 인해 지구어느곳에서 보던지 같은 모습의 달만 볼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에서 달을 어느 위치에서나 보면 달의 모양은 동일합니다. 이는 달의 위치가 지구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달이 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지구로부터 바라볼 때 달의 모양이 약간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달이 지평선 위에 떠 있을 때는 지평선을 따라 늘어난 듯한 모양으로 보이며, 달이 천정 위에 있을 때는 둥글게 보입니다.

    또한, 달이 지구의 자전과 공전 운동을 동시에 하기 때문에 시차적 차이 때문에 지구의 서쪽에서는 더욱 둥글게 보일 수 있고, 동쪽에서는 조금 늘어난 듯한 모양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는 매우 작으며, 달의 모양이 거의 일정하게 보이는 것은 달이 지구에 비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